Q. 송강 정철의 가사 문학이 문학성을 인정받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정철은 당대 가사문학의 대가로서 성산별곡,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훈민가 등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가사와 한시, 단가를 남겼습니다. 정철의 가사는 종래의 한문투를 벗어나 3.4조의 운율을 자유자재로 우리말을 구사했으며, 호탕하고 원숙한 시풍을 가사문학의 최고봉이라 할 만합니다. 그리고 훈훈한 인정을 느끼게 하는 인간미 넘치는 작품, 강호 산수의 자연미를 노래한 작품들이 있습니다. 우리말을 이용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을 사용하였으며, 자연을 묘사하고 시인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문학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Q. 우리나라 현대시의 시작은?????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현대시의 시작은 근대전환기부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전시가와 현대시 사이에 신체시라는 과도기적인 갈래가 있었는데 신체시가 근,현대시의 시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가 신체시의 대표작입니다. 현대시의 대표시인으로는 너무 많은 시인들이 있어 몇 명만 소개한다면 전통적 민요시의 특징을 드러낸 김소월, 모더니즘 시의 특징적 표현을 보여준 김기림, 전통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려낸 청록파 시인의 대표 박목월, 시대를 앞서간 실험적 시를 쓴 이상, 시대적 변화로 인한 새로운 세대의 허무함을 드러낸 기형도,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며 아름다운 시어로 주제의식을 표현한 고은 등의 시인들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