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어의 음운 변동에 대해 질문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비음화는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ㄴ,ㅁ,ㅇ)의 영향으로 'ㅇ,ㄴ,ㅁ' 로 바뀌는 현상입니다. 음운의 교체현상의 한 예가 되겠습니다. 표준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18항 받침'ㄱ(ㄲ,ㅋ,ㄳ,ㄺ), ㄷ(ㅅ,ㅆ,ㅈ,ㅊ,ㅌ,ㅎ), ㅂ(ㅍ,ㄼ,ㄿ,ㅄ)은 'ㄴ,ㅁ' 앞에서 [ㅇ,ㄴ,ㅁ]으로 발음한다의 예로 있는[인는]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비음화가 적용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비장미, 골계미, 숭고미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비장미는 삶의 한이나 비극적인 상황에 대한 형상화를 뜻합니다. 한 마디로 슬픔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갈등에 맞서는 비장한 결의를 느끼는 것이나 현실의 장벽에 좌절을 느끼는 것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비장미는 강하게 세계와 대립하지만 실패하는 주인공을 많이 그립니다. 김소월의 '초혼', '접동새' , 정몽주의 '단심가'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골계미는 해학스럽거나 우스꽝스러운 상황 혹은 인간상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현실 상황에서 이상적인 것은 가치있는 것으로 여기지 않고 추락시켜서 표현하는 것입니다. '춘향전'에서 나타나는 변사또와 지배계층 등에 대한 표현에서 골계미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숭고미는 절대적인 가치를 지키는 것을 숭고하게 생각하고 자아가 이러한 속성을 본받고 따르려고 하는 감정을 표현한 것을 뜻합니다. 또한 이상을 현실에 융합시키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자연 등 절대적이라고 느껴지는 것과의 조화를 통해서 현실에 실현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작품의 예는 향가의 '찬기파랑가'와 단군신화, 동명왕 신화 등과 한용운의 '님의 침묵' 등입니다. 질문에는 없지만 우아미라는 개념도 있습니다. 우아미는 모순, 갈등 등이 없이 현실을 받아들이고 순응하면서 주체와 객체의 조화를 보이는 갈등이 없는 상태입니다. 문학 속에서는 자아가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는 무언가를 대상으로 미적인 감각을 느끼고 그 느낌을 받아들이는 감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작품의 예는 윤선도의 연시조 '어부사시사', 조지훈의 시 '승무'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