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문학
문학 이미지
Q.  데자뷔라는 것은 어느나라 말이고 언제부터 나오게 된 단어인가요?
데자뷔는 프랑스어로 '이미 본 것'을 의미하고 어떤 상황이나 장면을 처음 보는 것 같은데도 그것을 이미 경험했던 것처럼 느끼는 현상입니다. 데자뷔의 종류는 정신적 경험과 관련된 심리적 데자뷔, 특정 장소나 환경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데자뷔, 꿈에서 이미 그 상황을 꿈꾼 적이 있다고 느끼는 꿈속 데자뷔 등입니다. 데자뷔는 대체적으로 뇌의 정보처리 과정에서 기존의 경험과 현재의 경험이 혼합되거나 혼동을 일으킬 때 주로 발생한다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가지많은 나무에 바람 잘날 없다는 무슨 뜻인가요?
가지가 많고 잎이 무성한 나무는 작은 바람에도 소리가 나고 움직임이 큰 것을 빗대어 가지(자녀), 나무(가정, 부모)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자식이 많은 부모들이 각 자녀들 마다의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근심이 끊이지 않음을 알려주는 속담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한국어처럼 모음조화가 있는 언어는 어떤 언어가 있나요?
언어의 모음조화 현상은 낱말에서 첫음절의 모음에 속한 모음군에 따라 뒷음절의 모음이 바뀌면서 낱말 전체의 모음이 모두 같은 모음군에 속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질문자께서 이야기하신 것처럼 우리말에는 양성모음과 음성모음 그리고 중성모음 'ㅣ'가 있습니다. 15세기 중세국어에서는 모음조화가 엄격하게 지켜졌지만, 아래아 ' · '의 음가가 변화하면서 현대국어에서는 의태어, 강조어, 서술어의 어간이나 어미에 모음조화가 남아있습니다. 주로 우랄어족의 언어에서 모음조화가 나타나는데 핀란드어는 전설, 중립, 후설모음이 있는데 중립모음과 후설모음 사이에 모음조화 현상이 발견됩니다. 그 외에 몽골어, 타타르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튀르기예어 등에서 모음 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설문을 통해 통계를 만든 글 정도로는 학술지라고 보기 어려울까요?
설문을 통해 통계가 유의미하게 나올 수 있다면 결과의 내용을 좀 더 서술하셔서 채워서 가설, 과제, 통계의 결과 등의 내용을 보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통계가 유의미하다면 그 통계를 적용할 예시나 비슷한 통계들과의 관계 등을 덧붙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쇠고기, 소고기 뭐가 맞는 말인가요??
소고기와 쇠고기 모두 사용이 가능한 표현입니다. 이러한 경우 두 단어 모두 표준어로 사용되기 때문에 복수표준어라고 이야기합니다. '쇠고기'의 '쇠'는 '소의'를 줄인 말입니다. 소의 몸이나 소가 가지고 있는 것 등 소에 포함된 것을 이야기 할 때는 '쇠'를 말의 앞에 붙였습니다. 쇠뿔, 쇠가죽, 쇠꼬리 등이 그 예입니다. 그런데 한편 '쇠달구지'라고 하지 않고 '소달구지'라고 쓴 이유는 '소의 달구지' 즉 소가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사람들이 '쇠뿔, 쇠가죽, 쇠꼬리' 보다는 '소뿔, 소가죽, 소꼬리'를 더 많이 쓰면서 '쇠고기, 소고기'를 모두 표준어로 쓰게 되었습니다.
2312322332342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