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2월 11일 작성 됨
Q.
태조 왕건이 지역 차별을 했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조 왕건의 훈요십조 중 제8조의 내용을 요약하여 옮겨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제8조 차현(車峴) 이남 공주강(公州江) 밖은 산형지세(山形地勢)가 배역(背逆)하니 그 지방의 사람을 등용하지 말 것. 이 내용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태조 왕건의 지역차별의 진의를 파악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의 논란으로 훈요십조에 대한 위작설까지 나오기도 합니다. 이 부분의 공주강을 금강으로 해석한 실학자 이익의 주장 이후로 후백제 지역의 사람들이 반란을 일으킬 수 있으니 등용하지 말라는 것으로 풀이하는 주장이 있습니다. 이 주장에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기도 하며 주류의 해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며 후백제와의 전쟁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며 특히 공산전투에서 패배하여 신숭겸과 고위 장군 7명이 전사하고 자신도 겨우 도주하였으며 5,000명의 가까운 군사를 잃었습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왕건은 후백제와 그 근거 지역에 대한 경계심을 훈요십조 제8조에서 드러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고려시대 관리등용에서 후백제 지역의 인사들이 매우 적었고 등용된인사들도 왕건의 동맹이었던 나주지역 인물들이 대부분이었다는 점 이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다른 또 하나의 해석이 공주강 근처 지역이 궁예의 지지기반인 청주지역을 이야기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왕건이 궁예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훈요십조의 제8조를 이야기했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어떤 해석을 하더라도 역사적 사실을 다른 의도를 가지고 와서 악용하는 사례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정조는 즉위하자마자 자신이 사도세자의 아들이라고 신하들 앞에서 말했다는데 그 발언의 목적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조는 세자 시기부터 꾸준히 살해위협과 위기 그리고 노론 벽파에 의한 견제를 겪었습니다. 당시 노론 벽파가 주로 군력을 독점하고 있었고 사도세자의 죽음도 노론 벽파에 의한 것이 었다고 보는 것이 합당합니다. 그러나 정조는 왕위에 오른 후 왕권이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해 노론의 신하들을 안심시킬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자신이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고도 이야기 했지만 영조의 뜻을 이어받아 영조의 첫째아들인 효장세자의 아들이기도 하다라는 말을 덧붙이며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죽음의 책임을 신하들에게 묻지 않겠다고 말해서 노론 벽파를 안심시키게 됩니다.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고려시대때 지방호족들이 세력이 얼마나 강했던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통일신라후기가 되면서 신라가 서라벌을 중심으로 지금의 경북, 경남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다른 지방에 대한 통제권을 잃게 됩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에도 지방호족들은 강한 세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신라의 강한 군사력과 경제력 등으로 왕권에 눌려 있었습니다. 그런데 신라 왕권과 조정의 힘이 약화되고 영토 전체를 통제하는 능력이 약해지면 지방호족들이 자신의 세력내에서 왕과 같은 권력을 행사하기 시작합니다. 이것이 후삼국시대의 시작이었습니다. 후고구려(태봉) 궁예, 후백제 견훤 그리고 신라로 나뉜 시대부터 지방호족들이 독립된 세력을 유지하고 있어 왕건의 고려도 지방호족들의 연맹체 정도로 시작했고 고려 전기 중기까지도 중앙집권적 권력행사가 어려웠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사우디가 후티반군을 제대로 진압못하고 전쟁에서 오히려 밀린모습을 보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동 국가들은 대부분 이슬람 국가들입니다. 이슬람 종파는 무함마드의 혈통이 최고 종교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는 시아파와 무함마드의 후계자는 혈통이 아니라 능력있는 종교지도자가 되어야 한다는 수니파가 있습니다. 시아파의 대표적인 국가는 이란, 이라크이고 수니파의 대표적인 국가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입니다. 예멘 후티반군과 레바논의 헤즈볼라, 팔레스타인의 하마스는 모두 시아파 무장조직으로서 이란의 군사적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중동 국가들 중 시아파 맹주 이란과 수니파의 대표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중동의 패권을 놓고 경쟁하고 있으며 이란은 시아파 무장조직을 이용해서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 그리고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력을 견제하고 있습니다. 특히 후티반군은 사우디아라비아를 군사적으로 공격하여 서로 전쟁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후티반군만의 세력으로는 사우디군을 이길 수 없었겠지만 이란군이 지속적으로 후티반군을 지원하여 사우디가 완벽하게 후티반군에게 승리하지 못했습니다. 현재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과 후티반군의 미군기지 공격 등은 모두 이란이 배후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이러한 일들은 수니파 이슬람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이스라엘과의 관계개선을 추진하는 것을 저지하려는 이란의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역사
2024년 2월 9일 작성 됨
Q.
이성계는 이방원을 왜 자꾸 한직으로만 돌게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방원은 조선개국의 큰 공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정몽주 죽인 일에서 알 수 있듯이 다른 사람들이 주저하는 일들 어려운 일들을 이방원이 도맡아 하며 아버지인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성계가 능력있고 공도 많았던 이방원을 중용하지 않았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태조 이성계의 맏아들 이방우가 아버지의 개국에 반대한 것입니다. 장자가 나라를 이어받지 못하게 되자 이성계의 뒤를 이어갈 세자를 정하는 일에 모든 왕자들이 후보가 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이성계는 신의왕후 한씨의 소생의 다섯 왕자들을 제외하고 어린 이방석을 세자로 세워 이방원을 비롯한 다른 왕자들의 반발을 사게 되고 이로 인해 이성계가 이방원을 비롯한 다른 왕자들에게서 세자 이방석을 지키기 위해 다른 왕자들에게 실권을 주지 않고자 한 것입니다. 정도전과 이방원이 그리는 조선의 정치체제가 달랐던 것도 큰 이유가 되었습니다. 정도전은 왕은 상징적인 존재로 남는 신권정치를 구상했고 이방원 왕을 허수아비로 만드려는 정도전의 이러한 정책을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정도전은 태조 이성계가 이방석을 세자로 삼는데 찬성하고 이방원을 계속 견제하게 됩니다. 이러한 견제는 결국 왕자의 난으로 이어지고 정도전과 세자 이방석이 제거되고 이방원이 권력을 잡는 결과로 이어지게 됩니다.
231
232
233
234
2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