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월세나 전세로 살바에 집을 대출해서 사는게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사람마다의 의견이 있을 수는 있지만 그게 정답이라고는 볼 수 없죠.일단 월세는 대출이 어렵거나 집값 고점 리스크가 있을 때, 유동성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리스크가 적은 선택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무조건 손해라기 보다는 현금 흐름이 중요한 사람에게는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전세의 경우에도 여전히 장기 거주, 자산 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보는 측면이 있습니다.대출을 받아서라고 집을 구해하라는 것은 집값이 계속 오를 때 맞는 말일 수는 있습니다. 이자보다 자산가치 상승폭이 크면 실익을 있을 수 있고 특히 인플레이션 시대에는 실물 자산의 가치가 올라가기도 합니다. 다만 집값이 하락하거나 정체가되면 대출이자 보유세, 관리비 등이 계속해서 나가는 반면 집값은 오르지 않게되어 리스크가 커질 수 있습니다.어떤걸 결정해야 할지는 본인의 현재 자금 상황, 부채 감당력, 실거주인지 투자 목적인지, 지역 시장의 흐름을 어떤지 등등 상세하게 먼저 분석을 해두시는 과정이 필요하고 그에 따라 본인에게 맞는 주거의 형태를 찾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Q. 세종으로 수도 이전 시, 부동산 영향이 클까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세종시 수도 이전은 이전부터 계속해서 정치권에서 언급이 되어온 굵직한 이슈이고, 이는 부동산 시장에도 직접적인 파급력이 있는 주제 중 하나 입니다.수도 이전은 장기적인 국가 계획이라 단기간에 실현되기는 어렵지만 이전 추진 뉴스만으로도 투자 수요가 증가되어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을 합니다. 실제로 정부 기능이 확대가 되면 공무원 및 관련 인력 유입이 증가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에 따른 사무실 수요, 상업시설, 주거 수요가 증가하게 되고 생활 인프라 확장 및 집값, 전세값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다만 수도 이전이라는 이슈는 법 개정 및 국민적 합의가 필요한 내용으로 당장의 부동산 호재로 확신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과점에서 접근하는게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계획이 구체화가 되어가는 시점에 공공기관 이전 예정지 주변이 먼저 반응하게 될 것입니다.
Q. 신혼부부가 신혼때 신축전세에 들어가면 정말 안좋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신축 전세는 피하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를 살펴보면....1. 신축 전세는 "현혹"되기 쉬운 집최신 인테리어, 편의시설, 깔끔한 구조 → 눈에 확 들어올 수 밖에 없습니다.처음부터 이런 집에 살면, 이후 구축 아파트/반전세로의 이동이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느낍니다.결국 전세 → 내 집 마련으로의 전환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2. 실질적인 ‘자산 축적’이 느려짐신축 전세는 전세가가 싸다고 해도, 월세나 구축보다 초기 보증금이 크고 그 자금을 집 마련에 쓰지 못하게 됩니다.청약 가점 유지나 모으는 기간에 전세 살이로 만족하고 안주할 수 있습니다.3. 의외로 잔금·대출 상황이 복잡한 경우도 있음신축은 아직 등기 안 된 경우도 많아 전세 보증보험이 안 되는 경우도 있고, 건축주가 임대인일 경우 리스크 존재 합니다.하지만 신혼부부가 신축 전세 들어가도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무조건 나쁘다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전략'이 있어야 합니다.3~5년 내 내 집 마련 로드맵이 명확한 경우 (청약 당첨 목표 or 자금 계획 있음)맞벌이로 자산을 빠르게 모으고 있는 경우보증금이 과도하지 않은 전세라면 충분히 거주 가능출산 전 또는 신혼 초기에 쾌적한 환경을 원하는 경우이러한 경우라고 한다면 신축 전세도 좋은 옵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Q. 아파트 매입 후 소유권등기이전 확인되면 안심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등기이전, 전세퇴거, 전입신고까지 모두 마무리 하셨다면 전체적으로 다 정리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그 이후에는 실질적으로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입주 신고를 하고 가스, 전기, 수도 등의 명의를 본인 명의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취득세까지 납부 하셨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향 후 재산세 고지서가 나오게 될텐데 그 부분만 이 후 잘 납부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