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강남같은 곳도 상가 임대가 안된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최고의 한국의 입지인데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가장 큰 이유는 비싼 임대료를 감당하기 어려워 임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에도 임대료가 크게 내려가지 않아서 수익을 내가가 어려운 상환 입니다. 그리고 예전에는 강남역, 신사역, 가로수길, 압구정 등이 메인 상권이었으나 최근 성수, 한남, 망원, 을지로 같은 지역들로 상권이 분산이 되면서 예전처럼 강남이면 무조건 잘된다라는 공식이 깨지고 있습니다.무엇보다 소비 트렌드 자체가 온라인으로 변화하면서 오프라인 매장들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 입니다. 특히 패션, 뷰티, 가전제품 등의 소비는 코로나 이후 온라인으로 대부분 옮겨가면서 오프라인 매장은 플래그십 스토어 중심으로만 운영이 되고 있는 곳들도 많이 있습니다.이에, 앞으로 상가 운영을 계획하고 계신다면 새로운 트렌드 지역을 물색해 보시기 바라며,차별화된 컨셉을 가지고 운영을 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싼 임대료를 감당하기 보다는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전략을 가지고 상가를 운영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Q. 아파트는 고층일수록 더 비싸지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 가격은 층수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고층이라고 해서 무조건 더 비싼 건 아니며,일반적으로는 중층 정도가 선호도가 높고 가격도 가장 비싼 경우가 많습니다. 저층은 저렴한 편이고, 고층은 전망이 좋기는 하지만 오히려 가격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저층은 소음, 프라이버시 문제, 조망권 불리 등의 이유로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고,중층은 고층 대비 가격 부담도 적고, 조망권, 채광, 환기도 양호한 편에 속합니다. 또한 너무 높지 않은 층수로 엘리베이터 이용에도 불편함이 없어서 선호도가 높아 가격도 비싼 경우가 많습니다.고층의 경우 조망권이 뛰어나고 사생활 보호가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높을 가능성이 크고, 겨울철 난방비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다만 한강뷰, 초고층 브랜드 아파트 등의 경우 초고층은 희소성이 크고 규모 자체도 일반층들과는 달라서 프리미엄으 붙는 경우도 있습니다.
Q. 집을 매매하는 적당한 시기는 언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일단 말씀하신 것처럼 현재의 부동산 시장은 그리 좋지 못한 편이기 때문에,당장 집을 매각하신다고 하시면 시간을 두고 시장 상황을 살펴 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2025년에 금리 인하 기대감이 있기는 하지만 부동산 시장이 본격적으로 회복세로 돌아섰다고 보기에는 어렵고, 매수 싦리도 여전히 바닥이라고 생각이 되어 집니다.이제, 올해말까지는 조금 더 시간을 두고 지켜 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보이며,주변 시세들을 계속해서 관찰을 하면서 집값이 반등하는 시기를 노려 보시기 바랍니다.만약 새로운 집으로 당장 이사를 해야 하는 경우라면 현재의 집을 전세나 월세로 전환하고,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한 지금 새로운 집을 사시는게 더 나을 수도 있을 듯 합니다.현재는 매수자 우위 시장이고 급매로 좋은 물건들이 나오는 경우가 있어서 노려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