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꼼꼼하고 친절하게 설명하는 노무사 김미현입니다.
꼼꼼하고 친절하게 설명하는 노무사 김미현입니다.
김미현 전문가
노무법인 새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근로계약
2023년 12월 15일 작성 됨
Q.
1년을 채우고 퇴직금 받고 퇴사하려는데요 회사에서 거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원하시는 퇴직일에 퇴사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2월 말이나 3월 말이 아니라 2024년 3월 6일을 퇴직일로 하여 퇴직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사직서에 사직서를 수리해 달라는 문구는 쓰지 마시고, 단순하게 "2024. 3. 6.자로 사직합니다."라고 기재하여 제출하시기 바랍니다.참고로, 아래의 문구는 60세 등 정년 나이에 도달한 경우이므로 질문자님과는 무관한 조항입니다."갑"의 취입규칙에서 정한 정년에 달하는 월의 말일에 퇴직하는 것으로 본다"
임금·급여
2023년 12월 15일 작성 됨
Q.
퇴직금의 지급기준은 무조건 1년 이상을 재직해야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퇴직금은 1년 이상 근무한 경우에만 발생하기 때문에 1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직하면 퇴직금은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직장내괴롭힘
2023년 12월 15일 작성 됨
Q.
직장내 왕따를 당한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인신공격 등 폭언이 존재하는 경우, 따돌림이 존재하는 경우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사업주(원장 등)에게 신고하면 신고의무가 발생하기 때문에 반드시 조사를 하여야 합니다.공정한 조사가 예상되지 않는 경우 사업주 대신 노동청에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직장 내 괴롭힘 신고 관련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https://blog.naver.com/saerolaborlaw/223150298088
임금·급여
2023년 12월 15일 작성 됨
Q.
공무원과 달리 일반 근로자는 겸직해도 노동법에 저촉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등 노동관계법령에는 겸직금지 규정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다만, 회사의 취업규칙에서는 대부분 회사의 승인없는 겸직을 금지하고 있으므로 회사와 사전에 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휴일·휴가
2023년 12월 15일 작성 됨
Q.
1년 계약직의 경우 연차는 몇일까지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최초 1년까지는 한 달에 한 개씩 발생하기 때문에 총 11개가 발생합니다.1년 만근 후 하루 더 근무하는 경우에는 다음 해에 쓸 수 있는 연차휴가 15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전에 발생한 휴가일수와 합치면 총 26개가 됩니다.
임금·급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학원강사 사업소득으로 신고 되는 경우 퇴직금 받을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사업소득으로 신고한 경우라 하더라도 근로자성이 인정된다면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에 따른 퇴직금은 발생합니다.따라서, 지급받지 못한 퇴직금에 대해서는 퇴직금 체불 진정을 제기하실 수 있습니다.퇴직금 체불 진정 관련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https://blog.naver.com/saerolaborlaw/223273653406
임금·급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지난 3월까지는 5인 이상이었고 지금 현재는 5인 미만 입니다 지난 년도 연차 수당을 받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상시 근로자 수 5인 이상이었던 기간 동안 발생한 연차휴가 중 사용하지 못한 연차휴가에 대해서는 연차휴가수당으로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임금·급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근로계약서 계약기간 단위 설정 1년이 기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기간은 당사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년이 아닌 기간, 즉 7개월(2023. 12. 1. ~ 2024. 7. 1.)로 기재하셔도 무방합니다.
임금·급여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취업하였는데 월급을 받지 못하여서 신고하려는데 근로계약서 작성하지 않고 일을 하여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아래와 같은 자료를 통해 근로관계 여부를 입증하여 근로자성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증명하여 노동청에 임금체불 진정을 제기하면 됩니다.회사로부터 출근일을 통지받은 문자상사로부터 업무지시를 받은 카카오톡OT (초과근로) 승인 메일임금명세서 및 4대보험 내역해고통보 메일, 문자,카카오톡 또는 녹음파일근로계약서 미작성 관련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https://blog.naver.com/saerolaborlaw/223141868317노동청에 임금체불 진정을 제기할 때 절차에 관하여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https://blog.naver.com/saerolaborlaw/223273653406
휴일·휴가
2023년 12월 13일 작성 됨
Q.
신입사원이 입사하여 한 달 만근했을 때 연차가 주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 제2항에 따라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합니다.따라서, 근속기간이 1년이 되기 전까지는 한 달 만근 시 1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