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초등학생 아들에게 일주일치 용돈을 주면 하루에 다 써버리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백인혁 청소년상담사입니다.일반적으로 아직은 어린 나이이기 때문에 전두엽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입니다.전두엽이 발달되기 전까지는 어른과 같은 계획적인 삶을 사는 것은 조금 어렵죠. 지금 현재 시기에서는 당연한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계획 능력도 키워지고, 돈이 없는 상황에서 곤란을 겪어보면 스스로 방향을 찾아나갈 것입니다. 그럼에도 훈육을 조금 하고 싶다고 한다면, 규칙을 세워서 그것을 그대로 실천하도록 해보십시오.일주일에 2만원의 용돈을 주고, 용돈을 다 쓰더라도 추가로 다른 누군가에게 빌릴 수 없다는 것이죠.가장 좋은 것은 종이에 직접 쓰고 서명을 하게 하여 잘 보이는 곳에 붙여두는 것입니다.사회적 규칙을 알게 해주는 것이죠.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로 그 규칙을 이행하시는 것입니다. 아이가 안쓰러워서 돈을 추가로 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아이가 스스로 계획을 갖고서 생활하기를 원하실 것입니다. 그런 차원에서 용돈기입장을 작성하게끔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용돈기입장을 작성하다보면 스스로 어느정도 용돈이 나가는지를 눈으로 볼 수 있어서 계획을 세우는 능력이 많이 좋아질 것입니다. 인지기능 발달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런 과정이 익숙해진다고 한다면 나중에 전두엽이 어느정도 발달된 다음(중학교 3학년 ~ 고등학교 1학년 이후)에는 경제적 관념으로 "부채"라는 개념도 알도록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채"를 통해서 남의 돈을 빌릴 때, 그에 따른 기회비용으로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는 것도 규칙에 넣으면 경제적 관념도 향상되고 향후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도움이 될 것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Q. 유아 코딩이 아이들한테 도움이 많이 될까요?
코딩이라고 흔히 뭉뚱그려 표현하지만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의사결정나무나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들이 도형을 연결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사실 개발자들 중에서는 개발하는 사람보다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사람이 더 고난이도이며 대우받기도 합니다.키보드를 이용하여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코딩의 겉으로 보이는 행동이지만, 코드가 적절한지 검증하는 것은 논리적인 측면이 많이 작용합니다. 사고를 할 때도 어떤 조건에 놓이면 어떤 결과가 나온다는 인과관계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 될 수 있겠죠.다만, 유아의 경우 아직 발달하는 과정이므로 지금 하는 행동에서 어떤 결과물을 크게 기대하기보다는 여러 자극 중의 하나로 코딩에 쓰는 도형에 친숙해지고 논리적 사고에 익숙해지도록 경험하는 정도로만 생각해주시면 되며, 이런 경험이 항상 훌륭한 개발자나 논리적 사고를 주로 하는 것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살면서 더 다양한 경험과 자극이 많을 것이니까요. 유아시절부터 코딩을 해서 모두가 빌게이츠나 주커버그 처럼 된다고 하면 코딩을 시킬 수도 있겠지만.. 그들도 유아부터 코딩을 했던 것은 아니죠.코딩 하나만 하시는 것은 아닐거고 다양한 경험을 만들어주시기 위해 다른 여러 활동도 아이와 함께 해주시고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처럼 여러 활동을 해서 자극을 주십시오. 나중에 마음에 드는 길을 아이가 서서히 찾아갈 것입니다. 그 길을 응원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