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신상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상윤 전문가입니다.

신상윤 전문가
건국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프리온과 바이러스는 어떤 점에서 유사하고, 또 어떤 점에서 근본적으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프리온(prion)과 바이러스는 둘 다 세포에 감염되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사해 보이지만, 구조와 증식 방식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1. 유사한 점둘 다 숙주 세포에 들어가 정상적인 세포 기능을 교란하여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전염성이 있으며, 감염된 개체에서 다른 개체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증식 과정에서 숙주 세포의 구성 요소를 이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2. 근본적으로 다른 점유전 물질 보유 여부바이러스: DNA 또는 RNA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백질 합성과 복제를 수행합니다.프리온: 유전 물질이 전혀 없고, 단백질만으로 존재합니다.증식 방식바이러스: 자신의 핵산을 복제하고 단백질을 합성하기 위해 숙주의 전사·번역 기작을 이용합니다.프리온: 정상 프리온 단백질(PrP^C)을 비정상 구조(PrP^Sc)로 강제 변형시켜, 단백질 접힘 이상 전염만으로 증식합니다.구조바이러스: 핵산 + 단백질 외피(때로는 지질막 포함)로 이루어진 비교적 복잡한 입자입니다.프리온: 단순히 잘못 접힌 단백질 덩어리입니다.질병 양상바이러스: 감염 부위에 따라 호흡기 질환, 간염, 면역결핍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합니다.프리온: 주로 중추신경계에서 단백질 응집체를 형성해 해면상 뇌증(spongiform encephalopathy)을 일으킵니다.정리하면, 프리온과 바이러스 모두 감염성과 전염성을 가지지만, 바이러스는 유전 물질을 가진 전형적인 감염체, 프리온은 유전 물질이 없는 ‘단백질만의 병원체’라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구분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계절마다 유행하는 이유를 변이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매년 계절성 유행을 일으키는 이유는 주로 항원 변이(antigenic variation) 때문입니다. 인플루엔자는 -ssRNA 바이러스로, 유전자가 여러 조각(segment)으로 나뉘어 있으며, 표면에 헤마글루티닌(HA)과 뉴라미니다아제(NA)라는 주요 항원이 있습니다. 이 두 단백질의 변화가 바로 면역 회피와 계절 유행의 핵심 요인입니다.1. 항원 소변이(antigenic drift)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RNA 의존적 RNA 중합효소는 교정 기능이 없어 오류율이 높습니다.이로 인해 HA, NA 유전자의 점돌연변이가 빈번히 축적됩니다.면역계가 기존 항체로는 충분히 인식하지 못할 정도의 작은 변화를 일으키게 되고, 매년 새롭게 변형된 바이러스가 유행할 수 있습니다.이것이 매년 계절성 독감 백신을 새로 제작하는 이유입니다.2. 항원 변이(antigenic shift)인플루엔자의 유전체는 8개 RNA segment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다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같은 숙주 세포를 감염하면 유전자 재조합(reassortment)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이 경우 HA, NA 조합이 크게 바뀐 전혀 새로운 아형(subtype)이 나타나게 됩니다.인체 면역계가 전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항원이므로, 팬데믹(pandemic, 범유행)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H1N1)3. 계절적 요인과 결합변이로 인한 면역 회피가 기본적인 원인이지만, 여기에 더해 겨울철 건조한 환경, 밀집 생활, 면역력 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매년 유행이 반복됩니다.핵심적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점진적 변이(항원 소변이)로 매년 조금씩 달라져 계절 유행을 만들고, 드물게 대규모 변이(항원 대변이)가 발생하면 전 세계적 대유행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역전사 바이러스(retrovirus)가 숙주 게놈에 자신의 유전자를 삽입할 수 있는 분자적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역전사 바이러스(retrovirus)는 RNA 바이러스임에도 불구하고 DNA 중간체를 형성하여 숙주 세포의 게놈에 자신의 유전자를 통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몇 가지 핵심 효소와 분자적 기전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1.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에 침투한 뒤,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를 이용해 자신의 단일가닥 RNA를 이중가닥 DNA(cDNA)로 전환합니다.이때 cDNA의 양 끝에는 LTR(long terminal repeat, 말단 반복서열)이라 불리는 특정 서열이 형성되는데, 이는 이후 게놈 통합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2. 전핵 이동(nuclear entry)형성된 바이러스 DNA는 단백질 복합체(pre-integration complex, PIC)에 싸여 핵으로 들어갑니다.일부 레트로바이러스(HIV 등)는 세포 분열이 없어도 핵막을 통과할 수 있는 단백질 인자를 갖습니다.3. 통합(integration)인테그레이스(integrase)라는 바이러스 효소가 cDNA 말단의 특정 염기서열을 절단하여 활성화시킵니다.동시에 숙주 DNA를 절단하여, 바이러스 DNA가 숙주 게놈에 끼워 넣어질 수 있는 공간을 만듭니다.이 과정에서 숙주 DNA는 짧게 절단되고, 그 자리에 바이러스 DNA가 삽입되면서 프로바이러스(provirus) 형태가 형성됩니다.4. 숙주 게놈 내 안정화삽입된 프로바이러스는 숙주 DNA의 일부처럼 복제되며, 숙주의 전사·번역 기작을 빌려 바이러스 단백질과 RNA를 합성할 수 있게 됩니다.따라서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자신의 유전물질도 함께 증식하게 됩니다.정리하면, 역전사효소로 RNA → DNA 전환 → 인테그레이스가 숙주 DNA에 삽입 → 프로바이러스 형성이라는 과정을 통해, 역전사 바이러스는 숙주 게놈 속에 안정적으로 자신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 이 기전 덕분에 HIV와 같은 바이러스가 만성 감염을 일으키고, 완전한 제거가 어려운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C3식물, C4식물, CAM식물의 광합성 경로에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각각 어떤 환경에서 유리하게 작용하나요?
안녕하세요.식물의 광합성 경로는 크게 C3, C4, CAM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광합성의 초기 탄소 고정 방식과 효율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각각의 경로는 환경 조건에 따라 장단점이 달라집니다.1. C3 식물특징: 가장 기본적인 광합성 경로로, 리불로스-1,5-이인산(RuBP)에 CO₂가 결합하여 3탄소 화합물(3-PGA)을 만드는 방식입니다.문제점: 고온·강광·건조 환경에서는 RuBP 카르복실화 효소(Rubisco)가 CO₂ 대신 O₂와 결합하는 광호흡(photorespiration)이 활발해져 광합성 효율이 떨어집니다.대표 식물: 벼, 밀, 보리, 감자, 대부분의 온대 식물.유리한 환경: 온도와 빛이 비교적 낮고 수분이 충분한 온대·서늘한 기후.2. C4 식물특징: CO₂를 먼저 옥살로아세트산(OAA, 4탄소 화합물) 형태로 고정한 뒤, 이를 유관속초세포(bundle sheath cell)로 이동시켜 CO₂를 방출하고 다시 Calvin 회로에 투입합니다. 이로써 Rubisco 효소 주변의 CO₂ 농도를 높여 광호흡을 억제합니다.장점: 고온·강광 환경에서도 효율적이며, 물 사용 효율도 C3보다 높습니다.대표 식물: 옥수수, 사탕수수, 기장 등.유리한 환경: 고온·강광·건조한 지역, 열대 및 아열대 기후.3. CAM 식물(Crassulacean Acid Metabolism)특징: 낮에는 기공을 닫고 밤에만 열어 CO₂를 흡수합니다. 밤에 고정된 CO₂는 말산 형태로 저장되고, 낮에 다시 방출되어 Calvin 회로에 사용됩니다.장점: 낮 동안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극한 건조 환경에 적응.대표 식물: 선인장, 다육식물, 파인애플 등.유리한 환경: 사막처럼 수분이 극도로 제한된 환경.즉, C3 식물은 온대·습윤 환경, C4 식물은 고온·강광 환경, CAM 식물은 극한 건조 환경에서 각각 경쟁 우위를 가지게 됩니다. 핵심 요약하면, 세 가지 광합성 경로는 모두 동일한 Calvin 회로를 공유하지만, CO₂를 어떻게, 언제, 어디서 고정하느냐의 차이로 인해 환경 적응성이 달라집니다.감사합니다.
반려동물 훈련
반려동물 훈련 이미지
Q.  고양이의 의사소통 방식과, 고양이가 눈을 깜빡이는 이유?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고양이는 말씀해주신 것처럼 소리(발성), 몸짓, 꼬리 움직임, 표정, 자세, 냄새 표시 등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표현합니다. 질문해주신 천천히 눈을 깜빡이는 행동은 고양이의 의사소통 방식 중에서도 흔히 고양이의 느린 눈 깜빡임(slow blink)이라고 부르는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고양이가 상대방(사람이나 다른 고양이)을 향해 적대감이 없고 편안하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긴장하거나 경계하는 상황에서는 눈을 크게 뜨고 응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반대로 천천히 눈을 감았다 뜨는 행동은 친밀감의 표현 가능성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추가로, 정확한 원인 확인과 치료 방향은 반드시 내원하여 수의사에게 직접 진찰과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 암컷 녹는실 후 목욕 언제부터?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중성화 수술 후 피부와 피하조직이 아물고 봉합 부위가 안정화되는 데는 약 10~14일 정도가 소요됩니다. 보호자님 아이는 수술일로부터 약 2주가 지난 상황이므로, 봉합 부위가 잘 아물고 특별한 합병증이 없다면 목욕을 고려할 수 있는 시점일 수 있습니다.다만 몇 가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1) 상처 부위가 벌어지지 않고, 발적, 붓기 등이 없는지2) 실밥을 제거했거나(제거가 필요한 봉합이라면) 혹은 피부가 완전히 유합된 상태인지3) 아이가 상처 부위를 심하게 핥지 않는지만약 위의 조건들이 모두 양호하다면 조심스럽게 목욕을 시켜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아직 상처 주변이 불안정하다면 며칠 더 기다리시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추가로, 정확한 원인 확인과 치료 방향은 반드시 내원하여 수의사에게 직접 진찰과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알러지(말티푸) 사료추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말씀해주신 것처럼 강아지에서 계란, 닭고기 단백질에 알러지가 확인되면, 해당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사료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현재 연어 단백질 사료를 급여 중이시라면, 일부 아이들에서는 잘 맞을 수 있으나 장기간 먹다 보면 다른 단백질에도 알러지가 새로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의사 처방용 저알러지 사료(hypoallergenic diet)가 가장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단백질을 가수분해(hydrolyzed protein) 형태로 만들어 면역계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 사료입니다. 대표적으로 로얄캐닌 Hypoallergenic, 힐스 z/d, 퓨리나 HA 같은 제품들이 있습니다.현재 연어 사료가 잘 맞는다면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으나, 재발을 반복한다면 가수분해 단백질 기반의 처방식 사료로 전환을 고려해보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감사합니다.추가로, 정확한 원인 확인과 치료 방향은 반드시 내원하여 수의사에게 직접 진찰과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고양이 사료 유리너리 랑 s/o 같이 급여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말씀해주신 유리너리(Urinary)와 유리너리 S/O는 비슷한 목적(요로 건강, 특히 하부 요로 질환 관리)을 가진 처방식이지만, 성분과 적용 범위가 약간 다릅니다.유리너리 S/O는 주로 방광결석(특히 스트루바이트 결석) 용해 및 예방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사료입니다. 소변을 산성화하고, 미네랄 농도를 낮춰 결석 재발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반면 일반 유리너리 라인은 주로 요로 건강 유지, 소변량 증가, 요로계 자극 완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결석 용해 효과는 S/O보다 떨어질 수 있습니다.따라서 현재 아이가 결석 치료 중이거나 재발 가능성이 높은 상태라면 S/O를 끝까지 먹이는 것이 더 안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단순히 요로 건강 유지 차원이라면 유리너리 단독 급여로 넘어가도 무방합니다.사료를 섞는 부분에 대해서는,S/O와 일반 유리너리 혼합 급여: 크게 문제되지는 않지만, 결석 관리 효과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치료 목적이라면 권장하지 않습니다.헤어볼 사료 + 유리너리: 헤어볼 사료는 장 건강과 모구토 예방에는 도움이 되지만, 결석 관리 효과는 떨어집니다. 감사합니다.추가로, 해당 답변은 일반적인 상황에 대한 답변이므로, 정확한 원인 확인과 치료 방향은 반드시 내원하여 수의사에게 직접 진찰과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 식이알러지와 맑은콧물 그리고 마른기침 연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식이 알러지는 주로 피부 가려움, 발적, 귀 염증, 턱이나 발 핥기 같은 피부 증상이나 구토, 설사, 묽은 변과 같은 소화기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개체에서는 만성적인 콧물이나 눈물 같은 호흡기 증상이 보고되기는 하지만, 호흡기 증상은 식이 알러지의 주요 양상은 아닙니다. 따라서 턱 긁음은 식이 알러지와 연관될 수 있으나, 맑은 콧물과 마른 기침을 모두 식이 알러지로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맑은 콧물과 기침은 다른 원인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환경 알러지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고, 과거 치주질환으로 상악 구치부 치근단 농양 → 구강-비강 누공이 생긴 경우 만성적인 콧물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기관 협착, 기관지염, 심장질환 등 심혈관, 호흡기 증상에서 기침은 흔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머리 흔듦은 보통 외이염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귀와 코, 피부 알러지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귀 검진도 꼭 필요합니다.정리하면, 식이 알러지가 피부 가려움과 일부 증상에는 연관이 있을 수 있지만, 맑은 콧물과 마른 기침을 모두 식이 알러지로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과거 치주질환 병력과 만성적인 콧물, 머리 흔듦까지 고려하면 비강 문제나 귀 질환을 반드시 함께 감별해야 합니다.감사합니다.추가로, 해당 답변은 일반적인 상황에 대한 답변이므로, 정확한 원인 확인과 치료 방향은 반드시 내원하여 수의사에게 직접 진찰과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7살 여아 푸들 옆구리 쪽 피딱지...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피딱지는 다양한 원인으로 생길 수 있는데, 최근에 바리깡으로 털을 깎은 직후라면 몇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외상성 원인바리깡 날이 피부에 스치거나 눌리면서 작은 상처가 생겼을 수 있습니다.그 부위에서 소량 출혈이 있었다가 자연적으로 아물면서 피딱지(가피)가 형성된 경우입니다.기존 피부 병변이 자극받은 경우강아지 피부에 원래 농포, 피지종 혹은 작은 종양성 결절이 있었는데, 바리깡에 의해 눌리거나 터지면서 상처가 생기고, 이후 회복 과정에서 피딱지가 앉았을 수 있습니다.감염성 원인세균성 피부염(특히 표피 농포성 피부염)이 있었던 부위가 긁히거나 터진 경우, 그 위에 딱지가 형성되기도 합니다.비감염성 원인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 호르몬 질환(갑상선 저하, 쿠싱증후군 등)으로 피부가 약해져 있던 상황에서 작은 자극에도 쉽게 상처와 딱지가 생길 수 있습니다.정리하면, 최근 바리깡으로 털을 깎은 상황이라면 단순 외상성 가피 가능성이 가장 높지만, 기존 피부 질환이 자극받아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 딱지 부위가 점점 커지거나, 주변 피부가 붉어지거나, 가려움·분비물이 동반된다면 병원에서 피부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감사합니다.추가로, 해당 답변은 일반적인 상황에 대한 답변이므로, 정확한 원인 확인과 치료 방향은 반드시 내원하여 수의사에게 직접 진찰과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