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정리정돈을 잘하지 않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정리정돈을 하지 않았을 때 어떻게 되는지 경험하게 해 주는 게 좋아요. 물건을 잃어버리거나, 원하는 물건을 빨리 찾지 못한다든가, 물건이 부숴진다든지 등 제대로 정리하지 않을 때의 불편감을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직접 경험해 보는 게 가장 좋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경험하면서, 아이가 스스로 정리정돈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 주시고, 정리정돈을 실천하도록 가정 내에서 연습해 주시기 바랍니다.처음에는 어떤 순서로, 어떻게 하는 건지 구체적으로 안내를 하고, 점진적으로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Q. 다른 사람의 물건을 함부로 만지는 아이,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나의 물건과 다른 사람의 물건, 그리고 함께 쓰는 물건 등 먼저 소유에 대한 개념을 알려 주세요.그리고 나의 물건이 아닌 물건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등을 알려 주면서 다른 물건을 사용하는 방법과 태도 등을 기르도록 해 주세요. 다른 사람의 물건은 함부로 만지면 안된다는 것, 허락을 구해야 한다는 것, 소중히 대해야 한다는 것을 차근차근 설명해 주시면서 집에서 연습을 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Q.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어려워하는 아이, 어떻게 도와줄까요?
안녕하세요. 원래 대부분의 아이들이 새로운 공간이나 환경 등 낯선 곳에 적응하는 걸 어려워 하고 힘들어 해요. 그래서 대부분 그러한 일을 겪는다는 걸 먼저 알아주셨으면 하고, 아이가 적응하는 게 어려워 한다면 아이가 적응하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어요. 구체적으로 다가올 즐거운 일을 아이에게 이야기를 해주어 기대감을 높여주고, 마냥 불안해 하지 않도록 불안감을 해소해주는 것. 그리고 구체적으로 경험을 하게 하거나, 먼저 익숙하게 하여 연습하는 것 등이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하도록 다양한 연습을 하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Q. 규칙을 잘 지키지 못하고 불만을 많이 표현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먼저 규칙을 이해하지 못한 거라면 -> 규칙을 이해할 수 있도록 아이의 수준에서 쉬운 용어로, 쉽게 설명을 해 주시면서 규칙을 지키도록 독려해 주식 바랍니다.규칙 자체에 불만을 가져서 이에 대한 반항심, 불만으로 규칙을 지키지 않는 거라면 -> 아이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도록 규칙의 필요성을 설명해 주어, 아이가 규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함을 스스로 인식하도록 해 주세요.
Q. 소극적이어서 친구에게 다가가지 못하는 아이, 어떻게 도와줄까요?
안녕하세요.사실 소극적인 건 그렇게 계속 살아온 거라서 쉽게 바뀌기는 어려울 거예요. 하지만, 그렇더라도 노력하면 다른 친구에게 먼저 제안하는 것, 그리고 친하게 지내고자 말을 거는 것 정도는 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우선은 가족에서 익숙한 부모님, 혹은 다른 가족 구성원 앞에서 연습을 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어떻게 같이 놀자고 말할 건지, 어떻게 말을 할 건지. 가족들이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분위기에서 지켜봐 주고 긍정적인 조언과 피드백을 하면서 아이가 말을 하는 자신감을 키워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다른 친구들이 무엇을 하고 노는지, 또 어떻게 노는지 관찰하고 그걸 집에서 연습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가급적 보호자가 직접적으로 친구 관계에 개입하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친구들과 친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Q. 수업에 잘 집중을 못하는 아이,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수업에 잘 집중하지 못하고 어려움이 있다면, 기초학력이나 이해력 등에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기초 학력 내용을 점검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평소에 집에서도 앉아서 활동하는 연습을 해나가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0분, 20분 등 짧은 시간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시간을 늘려가 공부나 활동, 놀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Q. 늦잠을 자주 자는 아이, 어떻게 일어나는 습관을 기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아이가 아침에 일찍 일어나게 하려면,가장 좋은 건 일찍 자는 겁니다. 충분한 수면 시간이 확보되어야 아침에 눈이 떠지기 때문에, 아이가 적절한 시간에 수면에 들도록 해 주시고 너무 늦은 시간에는 자지 않도록 해 주세요.그리고 주말이나 방학 등에도 가능한 루틴을 일정하게 하여서 방학이라고 너무 늦게 일어나게 하거나, 주말이라고 계속 자게 하느 등 하지 않고 가능한 일정한 루틴을 유지하면서 생활하도록 해 주세요.그리고 아이 스스로 알람을 맞춰서 일어나는 등 가능한 아이 혼자 일어나는 방법을 먼저 실천하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Q. 목표를 세우는데 어려움을 겪는 아이,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 스스로 작은 일이라도 목표를 세워서 해나갈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 정말 사소한 일이라고 좋아요. 양치 매일 3번씩 하기, 일찍 일어나기, 자기 방 스스로 정리하기 등 간단한 것, 쉬운 것부터 해서 아이가 목표를 달성한다는 성취감을 주시고, 그 뒤부터는 하루의 목표, 이번 주의 목표 등 목표가 더 확장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Q. 팀워크를 잘 못하는 아이, 어떻게 지도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어떠한 부분에서 팀워크를 해친다고 생각하시는지 알아 보셔야 할 것 같아요.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지 않는 건지, 참여는 하더라도 성실하게 참여하지 않는 건지... 등 양상에 따라서도 해결 방법이 다르고, 주위 아이들이 어떻게 바라보는지 시선 등도 달라질 수밖에 없거든요. 열심히는 힘들더라도 최소한 다른 아이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을 만큼은 해야 한다고, 책임을 강조해 주세요.혹시 이러한 성의, 태도의 문제가 아니라 아이가 자신감이 부족해서 어려워 하는 거라면 이러한 자신감을 키워주는 활동을 집에서 많이 해 주시기 바랍니다.
Q. 가족간의 소통이 부족한 아이,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소통할 수 있도록 개방적으로 긍정적인,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세요. 무리해서 대화를 하고자 시도하기보다는 언제든 기다리고 있으니 편하게 얘기를 해달라고 말해 주시면서, 평소 식사 시간이나 여행 등 아이와 교류하는 시간을 기회로 삼아서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고, 래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