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학적 재능이 있는 아이들은, 어떻게 키워주면 좋은걸까요?
안녕하세요. 그렇다면 계속해서 아이가 발전해 나가도록 해 주세요.선행 학습 자체가 나쁜 게 아닙니다. 수학적인 재능이 있고 이해한다면 선행이 도움이 돼요.다만, 4~5학년 수학 문제를 단순한 개념만 이해하면 푸는 예제가 아니라, 기본 문제, 그리고 어려운 사고력 문제와 심화 문제까지 풀어내는지 봐야 해요. 단순히 예제만 푸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을 해내야 수학적 재능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Q. 요즘 아이들의 경우에는 공부 대신 친구를 위해서 학원을 다니나요?
안녕하세요. 요새는 사교육의 목적이 공부나 입시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기는 합니다. 특히나 유아기,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는 돌봄을 위해서 다니기도 하고, 친구 관계를 위해서 다니는 경우도 많습니다. 다만, 이는 초등 중학년 이후로 갈수록 점차 드문 이유가 되기는 합니다. (갈수록 입시, 공부를 위해 다니게 됨.)
Q. 친구와의 갈등으로 힘들어 하는 아이를 어떻게 도와줄까요?
안녕하세요. 갈등은 누구나 겪는 일이고, 이거는 내가 피하고 싶다고 해서 피할 수 없다는 걸 알려 주세요.아이가 갈등을 겪는 것보다 이 겪는 것을 슬기롭게 해결하는 게 중요하다고 해 주세요.스스로 잘못하다고 느낀 게 있는지, 서운한 점이 있는지, 그 친구의 어떠한 행동으로 그렇게 느꼈는지, 앞으로 어떻게 하고 싶으니 등 여러 가지를 이야기를 나누면서 아이의 생각을 정리하도록 도와주세요.가능한 보호자가 판단을 내리거나, 직접 중재를 하는 게 아니라 이야기를 통해 아이가 나아가는 방향의 조언자 역할만 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 과정에서 아이에게 조언과 피드백을 주어, 아이 스스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다만, 폭력이나 따돌림 등의 경우에는 선생님에게 말하여 해결 방법을 논의하고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Q. 책을 읽는 속도가 너무 느린아이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사실 속도보다는 아이가 제대로 이해하면서 읽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조금 느려도 괜찮기는 합니다.다만, 너무 느리다고 말할 정도라면 문제가 있을 수는 있어요. 아이가 책을 읽는 걸 면밀히 봐주세요. 집중하면서 읽고 있는지, 집중을 한다면 제대로 읽고 있는지 등을 고려해서 아이에게 피드백을 주는 게 좋겠습니다.아니면, 아이가 수준에 맞지 않는 너무 어려운 책을 읽고 있는지 책의 수준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