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요즘 뉴스를 보면 시국선언을 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혹시 시일야방성대곡이라는 단어를 들어본적이 있으실까요!? 사실 역사를 공부해본 사람들이라면 아실 표현인데, 고종황제의 승인이 나지 않은 상태에서 을사늑약이 체결되게 되는데 이를 규탄하는 의미에서 1905년 11월 20일에 황성신문 주필인 장지연이 "이 날에 목 놓아 우노라"라는 표현으로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표현 하였었죠.말 그대로 시국선언 또한 현시점의 일에 대하여 우리는 부당함을 공공의 사람들에게 알린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시국선언은 3.15 부정선거 이후 이승만 정권의 퇴진을 위한 시국선언 이후 이승만이 하야 했고, 1986년 민주항쟁의 시발점이 된 시국선언도 있었으며, 이후 각 정권에서 시국선언이 나오게 되죠.예전의 시국선언의 경우 아시겠지만 서슬퍼런 정권 하에서 시국선언을 한다면 목숨을 걸어야 하는 정말 위험을 무릎 쓴 행동이었습니다. 물론, 지금 현대에서는 독재정권 당시보다 위험도는 낮겠지만 시국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마음이나 부담감은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Q. 미망인 이라는 단어가 쓰이게 된 유래가 따로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미망인이란 단어 자체가 아닐 미, 죽을 망, 사람 인 이라는 한자를 사용하는데요. 아직 죽지 않은 사람 혹은 따라 죽지 않은 사람 정도로 해석이 가능하며 이는 과부라는 표현과 혼용되어 사용 되는 단어 입니다. 즉, 남편이 먼저 죽어서 남게 된 여인을 부르는 표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미망인이라는 용어는 춘추좌씨전의 장공편에서 처음으로 나오는 표현이며, 참고로 춘추좌씨전은 공자가 쓴 역사서 춘추에 대한 주석서로서 기원전 750년 부터 약 250년 정도의 역사를 기록한 책입니다.
Q. 무장독립운동이 테러가 아닌 왜 의거라 불리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독립운동 중 발생했던 의거, 지금 현대 시대에 나오고 있는 테러의 차이는 분명한데요.독립운동가의 의거는 특정한 대상만을 지정해서 일어난 것이죠.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역 의거, 이봉창의사, 윤봉길 의사가 있었습니다. 테러는 말 그대로 특정인이 아닌 불특정 다수를 향해 공격을 가하는 것이죠.추가적으로 우리 독립운동가 분들은 의거 이후 본인들이 행했고, 정당한 이유를 밝혔기 때문에 자신을 숨기고 숨어버리죠.이런 것들 때문에 독립운동가는 조국, 외국 모두가 인정하고 중국 마저도 인정하여 기념관이 있습니다.
Q. 식민사관이라는 역사관은 틀린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근대화를 이룬 것이 일본의 식민지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식민사관이죠. 그러면 반대로 일본의 식민지가 아니었다면 근대화를 못 했을 것이라 생각하시나요?조선 후기가 되면 분명 한계가 있지만 실학이 나오고, 일본이나 미국, 영국 등의 세계 각국의 각축전 속에서 조선 또한 변화하기 위해 여러가지 개혁들을 준비하고 실행하게 됩니다.또한 철도, 전기 등도 조선에 들어오게 되고, 단발령, 갑오개혁 등으로 신분제가 폐지되죠. 하지만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일본에 의한 주권침탈이 발생하었고, 미국이나 영국, 러시아, 청나라 등의 관계 속에서 조선은 일본의 식민지가 되죠.그러면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서 근대화만 되었을까요? 수없이 많은 수탈, 인권유린, 반인권적인 행태들이 과연 근대화일까요?? 단순히 시간이 지나면서, 외국의 문물을 받아들이고 자체적인 개혁 등으로 근대화를 이룰 수 있었던 조선을 침탈하고 식민지화한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닌 그런 편협한 역사적인 식민사관 입니다.
Q. 부유 했던 베네주엘라가 최빈국으로 전략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베네수엘라는 풍부한 석유자원을 이용하여 상당한 부를 누렸던 국가 중의 하나였습니다. 현재 중동의 석유 재벌 왕국들과 비슷한 느낌이지만 현재 중동 또한 석유가격 때문에 흔들리고 있는데, 베네수엘라는 조금더 일찍 위기를 겪게 됩니다.과거 석유가격이 높았을 시기에는 풍부한 석유를 수출하여 생긴 수입으로 상당한 복지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이는 국가의 수익을 국민이 나눠 갖는 모습으로 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석유 자원 외에는 별다른 산업화를 하지 못한 것이죠. 돈이 넘쳐나서 별도의 국가 산업기반을 마련하지 못했죠. 그렇기에 석유 가격이 급감하는 2000년대에 들어서는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국가의 수익이 떨어지게 되죠.또한 베네수엘라의 정치 지도자로 잘 알려진 차베스, 마두로 정권은 부패한 정권으로서 자신들의 이익 위해 정치를 하였고, 결국 이러한 정치적 불안정은 외국자본의 이탈을 가속화 시켰죠.석유가격의 하락, 정부에 의한 환율 개입, 무능하고 부패한 정치라는 여러가지 요소들로 인하여 베네수엘라는 경쟁력을 잃었고, 속절 없이 무너져 결국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유명한 빈민국으로 전락하게 된 것입니다.
Q. 6.25 전쟁때 북한 군과 우리 나라 군인 중에 어느 쪽이 더 사상자가 많았을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한국전쟁은 약 3년 동안 벌어진 동족상잔의 비극이었습니다. 남침으로 시작된 전쟁은 양국의 군인, 민간이 뿐만 아니라 파병을 위해 지원된 UN군, 중공군까지 상당한 사망자, 부상자, 실종자가 발생하게 된 세계전쟁의 한 형태였습니다.남한의 경우 국군 사망자 137,899명, 부상자 450,000명, 경찰 사망 및 부상 10,000명 정도였으며, 북한군은 사망자 520,000명, 실종 및 포로 120,000명으로 엄청난 양국의 인명손실이 발생했습니다.추가적으로 UN군 전사자 40,000명, 부상자 100,000명, 중공군 사망자 116,000명, 부상자 220,000명으로 한국전쟁에 참여한 각국의 피해도 엄청났습니다.결국, 현재는 북한은 경제발전에 뒤쳐져서 전세계에서 가장 못살고, 인권이 말살된 곳이 되었습니다.
Q. 이번 비상 계엄으로 인한 다양한 분야의 예측은.. ?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계엄령 자체가 과거 민주주의 운동을 탄압했던 물리적인 강압책이었기에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상당히 관심 있게 보는 것 같습니다.계엄령은 물리적인 힘을 대통령과 군대에 밀어주는 형태이기 때문에 국민들의 기본권이 제한되며, 언론의 자유가 없어지고, 국회가 마비되며, 대통령에 의해 영장 없이 구속이나 제재가 가능하게 됩니다.이러한 공포가 과거에 여러번 발생했기에 우리나라 국민들의 반응도 심각한데요. 일단, 경제적으로 코리안 디스카운트가 심화되어 계엄령이 실패 했으나 주식이나, 경제 전망이 하향되고, 환율이 오르면서 수출 수입 기업 모두가 힘들게 되어 가고 있습니다. 또한 국민들은 연말 분위기가 어수선하기 때문에 모임이 줄어서 뉴스에서 보이 식당이나 여행 예약건수가 절반으로 떨어졌다고 하더라구요.하지만 다행인것은 우리 국민들은 스마트하고, 행동력이 강하기 때문에 이또한 이겨낼 것이라 믿고 있으며 향후 대통령이 바뀌고 정권이 안정화 된다면 지금이 바닥이라는 생각으로 더 위로 올라갈 것이라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