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 상호관세 인하 결정, 한국 무역 업계에 어떤 영향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미국이 상호관세 인하 결정을 여러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우리나라 또한 25%의 관세가 아닌 15%를 적용받게 되었습니다. 다만, 관세가 원래 없었던 것이 생긴 것이라 무역기업의 관세부담은 여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국가와의 관계에서도 일본이나 EU 등과의 관세가 동일해진 상황에서 앞으로는 가격경쟁력 뿐 아니라 기술력에 있어서의 경쟁도 더 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아직 반도체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등이 이루어질 예정인만큼 정책적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도 필요합니다.감사합니다.
Q. 트럼프 재선 시 한국 무역적자 품목에 관세 부과 우려 클까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2기 행정부이지만 실제 재선(3기)에 대한 의견이 있기도 합니다. 가능성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낮다고 보이나 트럼프 행정부의 재임기간이 사실상 늘어나는 등의 영향이 있다면 미국의 무역정책(보호무역주의, 미국 우선주의) 등에 대한 부분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 수출단가 상승, 마진 감소 등이 우려되며,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 외 다른 시장으로의 진출에 박차를 가해야하는 등 장기적 플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집니다.감사합니다.
Q. 상호관세 적용이 확정되는 분위기 속에서 통관 시 HS코드 분류 신중히 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는 대부분의 물품에 대하여 한-미 FTA적용중이고, 이에 따라 상호관세 부과품목은 대부분 15%의 관세만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HS CODE에 따라 상호관세 부과품목이 결정되고 일부의 경우 품목별관세(철강, 자동차 부품 등)의 적용이 이루어져 정확한 품목분류는 아주 중요합니다.정확한 사안은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전문가인 관세사 등에게 관련 내용을 의뢰하는 것이 좋을 것이며, 실제 바이어 또는 미국 정부기관(CBP 등)과의 소통도 중요한 업무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