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cola
cola23.02.08

적금이랑 예금의 정확한 차이가 뭔가요?

제가 적금은 달마다 넣는걸로 알고 있고, 예금은 한꺼번에 넣어두고 몇개월에서 몇년후에 받는걸로만 알고 있는데요. 딱히 두가지중에 뭐가 더 좋다고 확답을 내릴 수는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적금과 예금은 자산운용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것이 좋다라고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적금: 목돈만들기 상품

    예금: 목돈굴리기 상품

    이렇게 구분됩니다.


    가령, 지금 나에게 여유돈 1,000만원이 있을때는 당연히 예금에 가입해서, 1년(또는 2~5년) 뒤에 약정된 이자를 원금과 함께 수령하구요.


    지금 여유돈은 없지만, 매월 100만원의 여유돈이 생긴다면, 월납입금 100만원의 적금에 가입하고, 1년 뒤에 원금과 이자를 수령하면 됩니다.


    예금은 일시불로 예치하기 때문에 예치금 전체에 대하여 약정된 금리로 이자가 지급되지만,

    적금은 매월 일정액이 들어오므로 각 기간별 잔여기간에 대하여 약정된 이자가 지급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씀대로 적금이라는 것은 '일정한 주기마다 일정금액'을 입금할 수 있도록 하는 금리가 높은 통장을 말하는 것이며, 예금은 처음 가입한 금액 이외에는 추가로 입금이 되지 않는 금리가 높은 통장을 말합니다. 여기서 즉금과 예금을 가르는 것은 '추가 입금의 가능 여부'이며, 적금은 처음 가입할 수 있는 금액에 제한을 두게 되며 일반적으로는 예금보다 금리를 높게 주게 됩니다.

    적금과 예금에 대해서 동일하게 5%를 가정할 시에 받게되는 이자금액을 계산하여 말씀 드리도록 할게요

    [만기 원금 1,200만원 기준]

    • 예금 1,200만원 1년만기 5%이율시 만기 이자금액 - 600,000원

    • 적금 월납 100만원 (만기원금 1,200만원) 1년만기 5%이율시 - 325,000원

    적금보다 예금의 이자금액이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적금의 이자계산 방법은 '은행에 자금이 예치되어 있던 기간'만큼 이자를 계산한 후 합산을 하기 때문에 예금이자금액보다는 적게 지급받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목돈이 있으신 경우에는 예금을 하시고 조금씩 소액을 모아가시는 경우는 적금을 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과 적금의 경우 서로의 장단점이 있어서 누가 더 좋다고 말씀드릴수는 없습니다. 자금의 성격상 매월 자금을 저축하실려면 적금을, 가지고 있는 돈을 일시에 저축하실려면 예금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단, 금리의 경우 적금금리도 소폭 더 높은것이 특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이란?

    예금이란 일정 기간을 정해놓고 자신의 돈을 은행에 맡기는 것을 말하는데, 예금 방법에 따라 보통예금, 당좌예금, 별단예금, 정기예금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가장 대표적인 보통예금은 입출금이 자유롭고, 가입대상이나 예치금액, 예치기간에 제약이 없습니다

    적금이란?

    적금은 은행에 일정 금액을 일정 기간 낸 다음 찾는 방법의 저축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질문자님이 이해하신 개념이 맞으며

    목돈을 모으기 위하여는 적금을

    목돈이 있다면 한번에 예금을 하시는 것이

    보통 이자측면에서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금과 예금의 금리가 같고 같은 기간을 넣는다고 가정을 하고 같은 금액을 저축하신다면 예금이 좋습니다.

    이자를 계산할 때 예금은 한번에 저축된 금액이 가입기간 동안 이자를 온전히 다 받지만

    적금은 매달 금액이 나누어들어 가기 때문에 늦게 들어간 금액은 그만큼 이자를 받는 기간이 줄어 예금보다 이자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시중에 나와있는 예금과 적금 상품은 그 가입기간과 금리등이 다양하여 어떤 것이 좋다기 보다는 본인 상황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것이라 생각됩니다.

    보통은 월급에서 매달 일정금액을 저금하는 적금을 들고 그 적금이 만기되면 목돈이 생기니 그 돈으로 예금을 하는 경우가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정기적금은 한 번에 목돈을 마련하기가 어려울 때 목돈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일정기간 동안 적립을 하여 만기일에 이자를 함께 받는 형식이고

    정기예금은 목돈을 한 번에 예치하여 만기일에 이자와 원금을 받는 형식입니다.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만기일에 받는 이자인데요, 동일하게 12개월 동안 2%의 이자를 주는 상품에 원금이 600만원이라고 해보겠습니다.

    정기예금은 600만원을 한 번에 이체하여 만기일에 600만원(원금)+7.2만원(이자)를 받습니다.

    하지만 정기적금의 경우 600만원의 원금을 넣기 위해서는 1개월에 50만원을 넣어야 하는데 첫 달에 넣은 50만원은 2%의 이자를 받으나, 두 번째 달은 그 때 입금되는 50만원의 1.83%(11개월치)의 이자만 생깁니다. 세 번째 달은 10개월치 이자만 발생하구요. 따라서 만기일에는 600만원(원금)+6.5만원(이자)를 받게 되어 정기예금보다 발생하는 이자가 적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금은 매월 정해진 날짜에 일정금액을 꾸준히 납입해서 이자 수입과 함께 목돈을 마련하기 위한 금융상품이며, 예금은 목돈을 예치하여 안정적으로 이자수익을 창출하는데 목적이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따라서 예금과 적금은 용도가 다를 뿐 어떤 상품이 더 좋고 그런 것은 없습니다.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자산의 상황에 맡게 가입하시고 자금을 운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