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마른 하늘에 천둥이 치는 원리는 뭔가요?

일반적으로 천둥은 비가 오는 날에 보이곤 합니다. 그런데 간혹 비가 오지 않는 마른 하늘인데도 천둥이 치곤 하는데, 이러한 마른 하늘에 천둥은 원리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대기중의 적란운등의 불안정한 상태에서 양전하와 음잔하가 나눠지고 전하가 불균형하게 축적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꼭 비가 오는 상황이 아니더라도 번개와 천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확률적으로 적지만 적당한 습도와 구름이 있으면 불가능하지는 않다고 합니다.

  • 천둥이 치는 원리는 결국에 대기의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천둥자체가 보통 비를 같이 동반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불안정한 대기에서 천둥과 번개가 칠수도 있게 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