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2.24

금번 한국의 기준금리 동결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미국은 작년부터 지속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시키고 있습니다만. 이번에 한국은 금리를 동결시켰습니다 기축통화도 인상을 유지하는 상황에 국내의 금리 동결은 어떤 이유에서 결정된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의 금리 동결 결정은 여러 가지 요인에 근거했을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이유는 한국 경제가 아직 금리 인상을 감당할 만큼 튼튼하지 않고 금리 인상이 잠재적으로 경제성장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는 한국 금융시장의 안정을 유지하고 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자본유출을 피하기 위함일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은행은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19 팬데믹과 세계 경제 여건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감안해 보다 신중한 접근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통화정책 결정은 다양한 경제지표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한국은행은 금리 결정 시 경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늘 한은의 금리 동결은 다분히 최근에 정부가 선언한 경기 침체 국면을 최우선 고려하여 동결시킨 듯 보입니다.

    국내의 경기 둔화를 우려해서 동결 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사실상 공공요금도 올린 상황에서 금리 동결은 이해가 안가지만

    이유는

    1. 미국금리 0.25% 베이비스텝을 밣아서 격차가 크지 않다는 점

    2. 경기침체가 급격화되는 것을 막고자 하는 것

    3. 정부입장에서는 공공요금 폭탄으로 올렸는데 물가상승률 0.2%이니까

    다음 달에 보면 분명 낮아 질 것이라는 기대

    4월에 인상이니 3월을 보고 올릴지 말지 결정하려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가계 부채 부담이 늘어나고, 기업의 투자가 줄어드는 등 소위 경기침체 우려, GDP 성장 악재라는 두 가지를 다 감내해야 합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동결한 것인데, 미국의 인상 기조가 더 불거지게 되면 결국 0.25%p ~ 0.5%p 더 올려야 할 수 있지요.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경제사정이 여의치가 않다는 반증이겠지요.그동안금리인상에 부동산시장이 냉각되어 세수증대도 어렵고 물가상승은 서민경제부담에 선거를 앞두고 뭔가를 해야하는데 무턱대고 미금리를 따라가다간 국내경기둔화를 부축이니 금리동결로 한숨돌리고 3월에 있을 미연준FOMC 회의에서 금리인상폭을 보아가면서 그때 따라가지않을까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최우선적으로 가계 부채를 고려 했을것 같습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OECD 국가중 최상위권입니다. 만약 여기서 금리를 올린다면

    큰 부담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중소기업들도 부채를 못버티고 연쇄 부도 발생 가능성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