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무섭게 올리게 되면 우리나라는 어떻게 되나요?
내수만으로 살 수 없는 대한민국인데 미국에서 관세를 저렇게 올릴거라고 한다면 공장들을 다 미국으로 이전할듯한 느낌입니다. 미국이 관세를 많이 올리게되면 대한민국의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리게 되면, 우리나라 물품의 미국내 판매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조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수출의 감소, 무역수지의 감소 그리고 무역수지의 감소로 이어지게 됩니다. 즉, 수출위주인 우리나라의 경제에는 큰 치명타를 입을 수 있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 인상은 한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계획 중인 10~20% 수준의 보편 관세가 실현될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액은 크게 감소할 전망입니다. 10% 관세 시 연간 약 55억 달러, 20% 관세 시 최대 93억 달러의 수출 감소가 예상되어 한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세 정책은 단순히 수출 감소에 그치지 않고 한국 경제 전반에 연쇄적인 부정적 효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업들은 생산 축소, 고용 감소, 경쟁력 약화 등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미중 간 경제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한국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이 더욱 부각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의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수출 시장 다변화, 기술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 국내 산업 구조의 고도화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전략이 요구됩니다. 또한 미국과의 통상 협상을 통해 관세 부과를 최소화하고, 국내 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를 통해 관세 장벽을 우회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관세를 대폭 인상하면 우리나라의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업들이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큽니다. 수출 감소는 생산 감소와 고용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국내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특히, 자동차, 전자, 철강 등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은 생산비 상승과 수익성 악화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업들이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부 공장을 미국으로 이전할 경우 국내 산업 기반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수출 시장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그리고 무역 협정 등을 통해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내수 시장을 강화하고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미국에서 보편관세 등의 관세조치를 한다면 우리나라 수출은 부정적 영향을 받습니다. 관세 부과 조치 시 GDP는 8조원 ~ 10조원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GDP의 0.67%에 해당합니다. 글러벌 달러 강세 역시 우리나라 경제에는 부정적인 요소입니다.
보편관세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나 철강 산업에서 특히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2024년 대미 무역수지 최대 흑자를 기록하였으며, 지속적으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였으나 보편관세가 부과된다면 수출에 영향을 받게 되어 무역수지도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현대자동차 등의 기업들이 미국 내 공장을 신설 및 증축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취임과 함께 우리나라도 새로운 정책 등에 발빠르게 대응하여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인접국인 멕시코, 캐나다나 무역분쟁국가인 중국에 더불어 보통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이 있습니다.
다만, 이에 대한 부분은 아직 확정적이고 구체적이지 않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미국이 보편관세를 부과해 우리나라에도 관세를 부과하게 된다면 수출경쟁력을 잃고 대미 수출액이 줄어들어 우리나라의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