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대 간병인보험 관련해가지고 질문 드립니다
간병인보험 드는게 맞을까요 ? 아니면 국가혜택도 있는거같던데 장기요양 뭐이런거
지금 시점에서 가장 최적의 방법은 뭘까요 ? 들고 싶은 이유는 나이 더들어 불안해서 인데요
광고홍보는 신고합니다
간병인보험드는게 실질적으로 실효성에 대한 간단한 질문입니다 장기요양같은거도 있어서 드럽게 비싸기만하고 실효성도 없으면 안들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간병인보험은 국가의 노인장기요양보험과 함께 고려할 수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재가 요양서비스나 요양시설 서비스를 받을 수 있지만 일부 본인 부담금이 발생합니다. 반면 민간 간병인보험은 이러한 부담을 완화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간병인보험을 가입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개인의 건강 상태나 재정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보험은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는 의미가 있지만, 보험료와 실효성, 본인 부담금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간병인보험은 꼭 나이가 많은분들만 가입하는 보험이 아닙니다 젊은 사람은 저렴한 보험료로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사고나 질병으로 입원 수술로 간병인이 필요하게 될때도 가족이 간병할 수 없을때 도움이 됩니다 아이들은 부모가 간병을 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을 이용할대 나이가 있으시거나 수술후 재활을 하기위해서 요양병원을 이용할때도 도움이 됩니디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70대에 국가에서 지원하는 고령이나 치매 중풍의 노인성 질환 등으로 6개월 이상 혼자서 일상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대상자에게 요양시설이나 재가 요양기관을 통해서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을 통해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민영보험은 현재 내가 받는 연금 등의 월 수입에서 5%에서 10% 내에 지출을 할 여력이 되지 않는다면 자녀를 통해서 간병인보험을 들어서 받거나 아니면 간병인보험을 들지 않고 그냥 국영보험인 노인장기요양보험만을 가지고 지원받으시는 분들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일반수급자의 경우 재가수급자는 당해 장기요양급여비용의 15%는 본인이 부담해야 하며 시설급여 역시 당해 장기요양급여비용의 20%는 본인 부담입니다.
그리고 의료급여수급권자 및 감경적용 대상자는 일반수급자 본인 일부부담금의 50%를 부담합니다. 물론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는 부담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재가급여 등급별 월한도액이 있어서 한도를 넘을 경우 본인부담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국영보험만으로는 본인부담을 다 해소할 수 없기 때문에 간병인보험이 필요하고 간병인에 대한 지원을 국가에서 해주는 것은 제한적이고 간병인에 대한 부담금 역시 민영 간병인보험을 통해서 충당하게 되는 것입니다. 간병인 보험은 꼭 들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평상시 건강관리 잘 하시고 문제 없으시다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보험은 만일을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간병인 사용 일당 보험은 필요합니다.
70대시면 질병이나 사고시 간병을 해 줄수 있는 분이 있어도
긴병에는 효자가 없다라는 옛날 말이 있습니다,
자녀분들이 간병을 하기 위하여 직장이나 하던 일을 그만 둘수도 없지 않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