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냉철한말
냉철한말22.11.17

감기약을 먹으면 왜 졸음이 오나요?

나이
44
성별
남성

일교차가 커지면 몸살감기약 찾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몸살감기약은 졸음을 유발시켜 특히 운전하시는 분들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기약 뿐만아니라 항히스타민제도 졸음을 유발하는데 어떤 성분때문에 그런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감기약에 항히스타민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졸음을 유발할수 있으며페니라민 성분 밎 세트리진 성분의 항히스타민제가 졸음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에 운전하거나 기계조작시에는 복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모든 감기약이 졸음이 발생하진 않으며, 감기약에 함유되어있는 항히스타민제에 의해 졸음이 발생합니다.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은 뇌에서 각성효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항히스타민제가 억제를 시키니 졸음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가려움/코막힘에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감기약에 포함된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 수용체 중 H1에 작용하여 알레르기나 구토, 수면장애완화 효과를 보입니다.

    히스타민 수용체는 여러 곳에 존재하며 뇌에도 히스타민수용체가 존재하며 항히스타민제가 작용하게 되면 졸음이 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종합감기약에는 콧물을 멈추게 하는 항히스타민성분의 약이. 들어 있어서 졸음이올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세이 약사입니다.

    감기약이나 알러지약으로 이용되는 항히스타민제는 부작용으로 졸음 증상이 있기 때문에 운전이나 기계 조작 등을 할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항히스타민 성분의 약을 복용하면 히스타민1 수용체에 작용하여 히스타민 분비가 억제됩니다. 특히 뇌에 존재하는 히스타민은 신경전달물질로서 시상하부에 작용해 각성효과를 일으키는데 이 히스타민이 억제되면 졸음이 오게 되는것 입니다. 가장 오래된 1세대 항히스타민제들은 뇌로 이동할 수 있어서 개인차가 있지만 졸음 부작용이 심한편입니다. 그래서 졸음 부작용을 줄인 약들이 개발되서 나온것이 2세대 3세대 항히스타민제이고 뇌로 이동하는것을 막아 2세대 보다 3세대가 졸음 부작용이 더 적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졸림 부작용이 심하실 경우 3세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히스타민이라는 것이 인체 내에서 분비되게 되면 1차적으로 우리 몸은 과도한 면역 반응이 나타납니다. 발적, 부종, 기침, 가려움 및 두드러기 등이 흔하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히스타민을 억제하게 되면 증상 자체도 가라앉지만 진정 작용 및 졸림이 나타나게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