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5.05

떼쓰는 아이의 올바른 육아방법이 무엇일까요?

아이가 커갈수록 본인의 생각이 많아지다보니 떼쓰는 일이 잦습니다. 이런 떼쓰는 습관을 고쳐보려고 하는데 쉽지 않네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문제행동을 고치려면 일단 문제행동을 해봤자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해줘야 합니다. 부모는 아이가 울고 떼쓰며 요구하는 것은 절대로 들어주지 말아야 합니다. 이 원칙을 직접 시행하기 전에 아이와 함께 규칙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기 요구를 늘 들어주던 부모가 어느 날 갑자기 태도를 바꾸면 아이는 그 상황을 이해하지 못해 더 심하게 떼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규칙을 정하면 아이가 자기 행동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고, 그런 결과가 나온 이유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울고 떼쓰는 것을 그대로 두고 보기 힘들다면 그 상황에서 벗어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방으로 들어가거나 밖으로 나가면 아이도 떼쓸 대상이 없어지기 때문에 문제행동을 멈출 것입니다.

    아이에 따라 물건을 던지는 경우가 있는데 반드시 아이가 스스로 치우게 하셔야 합니다.

    평소 친절하게 대해주고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때는 단호하게 대하셔야함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6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떼를 쓰는 아이는 아이의 요구를 무조건 들어주지 않고 일관성을 가지고 아이를 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생후 18개월 이후부터는 자의식이 강해지고 고집이 생겨 자신이 원하는 것이 좌절되었을 때 화를 내고 데굴데굴 구르는 등 온몸으로 뗴를 씁니다. 순한 아이든 드센 아이든 간에 모드 고집과 떼로 자아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떼를 쓰는 것은 여러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자기 통제력이 부족하고 충동적인 성향이 강한 경우, 떼를 쓰면 뭐든지 해결되었던 경험이 있을 때, 부모의 사랑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고 느낄 때 등이 있습니다. 아이가 조르고 요구할 때 그것이 어른의 눈에 말도 안되게 여겨지더라도 아이에게 타당한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무조건 안된다고 결론짓기 전에 아이가 왜 그런 요구를 하는지 알아봅니다. 떼를 쓰지 않을 때는 칭찬을 해줍니다. 또한 안돼를 최소한으로 줄입니다. 유난히 고집이 세고 떼가 심한 아이에게는 해서는 안되는 일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에게 위험한 것만을 금하고 나머지는 모두 허용해서 시행착오를 겪게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되는 것과 안되는 것을 경험으로 터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떼를 쓰는 아이에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가 궁금하군요.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떤 대화를 해도 말이 통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조금 안정이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계속해서 반응을 해주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어느정도 안정이 되면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상대방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생활습관에 대한 부분이기 때문에 생활습관 개선을 위해 일정부분 훈육이 필요합니다. 다만 체벌이 아닌 행동개선을 위한 설득을 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떼를 쓸때에는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떼를 쓰는지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주 떼를 쓰고 고집을 피우는 게 자주 있는 일이라면 부모님께서는 무관심을 보여 주는 것도 중요할 것 같아요

    아이의 떼가 멈추면 그 때 아이의 마음에 공감을 해주시고 떼나 고집보다 자신의 의사 표현을 바르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어로 표현이 미숙한 어린 영아들은 떼를 쓰거나 고집을 부리는 것으로 자신의 의사표현을 하지만, 어느정도 언어로 표현이 가능한데도 떼를 쓰는 경우엔 크게 반응을 보여 주지 않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뗴쓰고 할떄는 기다려주는것이 좋습니다.

    커가면서 자기주장이 강해지는만큼 자신이 하고싶은것도 많아집니다

    하지만 해서 안될것들도 있고 조절할것도 있기에

    이러한 점에 대해서 아이에게 안된다는것을 알려주고 아이가 스스로 이것을 받아드리고 진정할때까지 기다려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떼를 쓴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떼를 쓰는 것은 아니야 라고 말을 해주세요.

    왜 떼를 쓰면 안되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먼저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는 자신의 기분과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떼를 부리는 것으로 자신의 감정과 기분을 표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로 기분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시고, 상황에 맞는 감정표현을 알려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떼를 쓰면 관심을 보여주지 마시고

    단호하게 대처하심으로써 버릇을 고쳐주시면

    좋아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떼를 쓴다면

    단호하게 행동하시길 바랍니다.

    이와 더불어서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제한하여

    떼 쓰는 것을 줄여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고집을 부려 원하는 것을 얻게 되면 고집이 모든 것을 해결해준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의 고집을 무조건 들어주거나 반대로 무시하는 것은 아이가 고집을 끊임없이 부리게 되는

    빌미를 제공해주는 것과 같습니다. 아이의 무조건적인 고집을 꺽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아이가

    성장하면서 허용되는 것과 허용되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선을 그어 알려주는 것입니다.

    떼를 쓴다고 모두 혀용해주는 것을 멈추시고 허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정확히 훈육해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