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대찬향고래25
대찬향고래2523.02.10

아이의 떼쓰는 습관 고쳐주고 싶어요

아이가 장소에 상관없이 자신의 뜻대로 원하는 바가 이뤄지지않으면 원하는 바가 이루어질때까지 떼를 씁니다

이런 아이의 떼쓰기 어떻게 해야 고쳐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0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원하는대로 되지 않을 때 떼를 써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떼를 쓸 때는 어떤 대화를 하려고 시도해도 말이 통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조금 안정이 될 때까지 기다려줍니다.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계속해서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안정이 된 후에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을 하실 때는 아이에게 절대 목소리를 높이거나 소리 지르면서 화를 내시는 건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또한 훈육이라는게 아이들에게 사랑하면서 도움이 될 만한 경험과 생각들을 조언해주는 것인데 감정적으로 대응하실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부모님들께서는 마음 상태를 차분하게 아이들에게 낮고 단호한 목소리나 목소리로 훈육을 하시는 게 가장 필요합니다. 있었던 일에 대해서만 말씀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떼를 쓰는 것이 너무 심하다면

    1. 위험하지 않는 것은 적당히 요구를 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엄마의 잦은 NO는 아이의 의욕을 무너뜨리고 아이를 떼쟁이로 만드는 것입니다. 단, 절대로 안되는 것에는 처음에는 부드럽게 타일러 보고 계속 떼를 쓰면 달래는 일을 포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떼를 쓰는 것이 지나쳐 뒹굴고 물건을 던지면 위험한 물건을 채워주고 그 자리를 아주 피해 버립니다.

    3. 아이가 마음을 가라앉히고 엄마에게 오면 전혀 아무 일이 없었던 것처럼 태연하게 아이의 머리를 쓰다듬고 다루는 얘기를 합니다.

    4. 떼를 쓸 때 관심을 돌기기 위한 방법으로 장난감을 사준다고 하는 매수는 떼쓰는 일이 횡재를 얻는 일이라 생각하게 되어 결코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5.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마세요. 비교는 엄마에 대한 신뢰를 잃게 하고 자존심에 금이 가서 자존감이 낮은 성격이 됩니다.

    아이에게 끌려가시면 안됩니다. 적당히 아이의 요구를 들어주시고 불만이 없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게 떼를 쓴다고 하여

    다 들어주지 마시고 이에 대하여

    단호하게 대처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뗴를 쓴다면 기다려주는것이 좋습니다.

    아이를 기다려주면서 이러한 감정을 스스로 컨트롤할수있도록 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이후에 아이가 감정을 잘 진정한다면 칭찬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떼를쓸 때 지속적으로 적절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떼를쓸 때 지속적으로 위의 방법처럼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훈육은 지속이 담보가 되어야 합니다. 일관성 있는 태도를 보여주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단호한 대처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울거나 떼쓰는 것으로 원하는 것을 얻은 경험이 있는 아이들은 이후에도 계속 같은 전략을 선택하게 됩니다.

    무관심하게 대하거나 사람이 많은 경우 장소를 옮겨 주시고

    해당 행동이 아닌 대화를 통해 원하는 것에 대해 스스로 이야기 하도록 유도해 주세요.

    화를 내거나 혼내는 것은 아이를 고립시키고 심리적으로 악영향을 주어 행동의 빈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충분히 공감하고 이해해 주되 단호한 태도로 잘못되었음을 알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떼를 쓰려고 하는 것에 대해 안되는 이유를 말씀 해 주시고 단호하고 일관성 있게 대응 해 주셔야 합니다 아이의 떼가 심할 경우 아이의 반응에 일일이 대응 해 주지 마시고 약간의 무반응도 괜찮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보통 원하는 게 있을 때마다 떼를 쓸 것입니다.

    부모가 침착하게 대응을 하셔야 합니다.

    아이가 떼 쓰는 것에 반응을 보이면, 아이에겐, 떼 쓰는 게 통한다는 메세지가 전달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