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천지개벽
천지개벽20.01.02

조미료중 하나인 '미원'은 무조건 적게 먹거나 먹지 말아야 하나요?

우리가 음식을 만들때 많이 쓰이는 조미료중에 하나인,'미원'이란 조미료는 가정이나 일반식당에서 많이 쓰이고 많이 섭취하고 있는데 이것이 무조건 우리몸에 좋지 않은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MSG를 과다섭취하면 뇌 신경 세포가 파괴되고 민감한 사람은 두통과 메스꺼움, 호흡곤란을 겪는다는 오해가 있다. 하지만 1995년 미 식품의약국(FDA)과 세계보건기구(WHO) 연구 결과 안전한 첨가물로 판명됐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첨가물에 대한 오해를 풀어드립니다.'

    식약처는 지난 2014년에 '평생 먹어도 무해하다'는 발표를 한 바 있죠.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1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2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3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4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5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6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7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8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9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10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11
    [카드뉴스] MSG, 몸에 유해하지 않은 걸까? - 12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180108119300797]


  • 제가 인터넷을 검색해 보더라도 미원이 건강에 나쁜 근거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MSG 분자는 화학적으로 합성, 변형하지 않으며 단지 미생물, 동식물 등에서 추출, 정제, 농축할 뿐입니다.

    원래는 이케다 키쿠나에(池田 菊苗)라는 일본 사람이 개발했는데, 다시마에 많이 들어 있던 것을 추출했다고 합니다. 일본상품으로는 "아지노 모토"였습니다. 말뜻은 미원이랑 비슷합니다. 맛의 근본이라는 뜻이지요.


    이것이 우리나라에서 대히트를 쳤지요. 지금도 조미료의 대명사는 미원입니다.

    미국의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MSG가 몸에 해롭지 않다고 발표했습니다. 아예 용량도 제한하지 않았습니다. 소금에도 섭취량 제한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적어도 과학적으로는 MSG가 몸에 해롭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과학적으로 보더라도 MSG란 monosodium glutamate입니다. 글루타민산 나트륨이지요. 이것은 글루타민산에 나트륨 이온이 붙은 것입니다. 글루타민산은 단백질을 이루는 20가지 아미노산 중 하나로서 사람들이 단백질을 먹으면 글루타민산을 섭취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글루타민산은 몸에 유해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MSG는 평생 먹어도 안전하다고 발표했습니


  • msg제품을 살펴보면
    L-글루타민산나트륨이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글루타민산나트륨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MSG’의 다른 말로
    식품의 감칠맛과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msg를 비롯한,
    짜장가루, 카레가루, 간장, 고추장 등 많은 가공식품에 빠짐없이 사용하는 화학첨가물이다.

    하지만 이 성분은 황산,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양잿물) 등의 화학물질을 넣고 만들어지고 있는데,
    문제는 장기간 섭취할 경우, 신경독성에 기인하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등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어린쥐에 실험결과 인지능력저하 행동불안증세도 있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