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4.04.24

경제가 어려워도 명품이 잘 팔리는 이유가 뭘까요?

월급은 통장을 스쳐갈 뿐이다, 오르는 건 물가 밖에 없다 등 경제가 어렵다고 말해도 매년 명품이라고 불리는 사치품들이 매출을 경신하고 있다는데, 그렇게 잘 팔리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명품이 잘 팔렸던 것은 어려운 상황에서 오히려 과시욕구를 위하고 SNS가 발달하면서 남들과 비교하는 시선이 커지게 되자 이러한 과시욕구가 더 커지게 되어서 명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한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 가 바로 이런 현상입니다. 가격이 오르는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 때문에 수요가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美 사회학자 베블런 ‘유한계급 론’(1899)에서 지적) 명품 소비는 다른 사람과 차별화하기 위한 것이며, 이와 같은 과시욕 때문에 간단한 ‘심볼 마크’ 하나에 높은 가격을 지불 과시적 소비가 점차 주위 사람들까지 따라 하는 벤드웨건 효과(Bandwagon Effect)로 이어질 수 있는 것 입니다. 최근 주변에 명품 소비가 흔해지는 현상이 이에 해당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도 명품이 잘 팔리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 때문입니다:

    1. 부유층 수요 지속

    경기 변동과 상관없이 일정 수준의 부유층 소비자들이 존재합니다. 이들에겐 명품 구매가 크게 부담되지 않습니다.

    2. 투자 상품으로서의 가치

    일부 명품은 희소성과 안전자산 성격으로 투자 가치가 인정되어 수요가 지속됩니다.

    3. 브랜드 가치와 과시 심리

    일정 계층에서는 명품 소비를 통해 부의 상징성과 지위를 과시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4. 허영과 체면문화

    경제가 어려울수록 체면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에서 명품은 부유함의 상징이 됩니다.

    5. 효과적 마케팅 전략

    고가 제품일수록 가치와 희소성을 부각시키는 마케팅으로 수요를 자극합니다.

    6. 해외 신흥부유층 수요 증가

    최근 신흥국 부유층이 증가하면서 해외 명품 소비도 큰 폭으로 늘어났습니다.

    결과적으로 경제 상황과 무관하게 일정 규모의 부유층 및 명품 소비심리를 가진 계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명품 시장의 수요는 지속되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경제가 어려워도 명품 등이 잘 팔리는 이유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의 경제가 어렵더라도 비싼 물건이 잘 팔리는 것은

    경제력을 과시하려는 사람들로 인해서 베블론 효과나 혹은 파노플리 효과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품에 대한 꾸준한 수요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에 따라서 베블런 현상일 수도 있고

    여러 수요처가 있기에 잘 팔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어려울수록 명품이 잘 팔리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명품은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높은 품질로 소비자들에게 자부심을 주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자신을 보상하거나 특별하게 대우하기 위해 명품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째로, 명품은 가치가 유지되거나 상승하는 경향이 있어 투자 수단으로도 인기가 있습니다. 또한, 명품 브랜드는 광고나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소비자들에게 강력한 브랜드 인식을 심어주기 때문에 경제 어려움 속에서도 명품 시장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득 양극화 때문입니다. 명품 또한 투자 수단이 된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중산층 이하의 구매력이 감소한 반면 고소득층의 소득은 고금리 시기에 더 빛을 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높은 금리는 자산가들에게는 축복이고 서민들에게는 재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