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물에서도 방귀를 끼면은 물방울이 생기면서 냄새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욕조에서 목욕을 하다가 배에 가스가 차서 방귀를 꼈는데요.순간 물방울이 올라오면서 냄새가 나던데 이게 어떤 원리로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범 전문가
    류경범 전문가
    CELL

    방귀는 주로 질소, 메탄, 이산화탄소, 수소 등의 기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기체들은 물에 일정량 용해될 수 있지만 방귀를 뀔 때 나오는 기체의 양이 많아 물에 모두 녹지 못하고 남는 기체가 생깁니다.

    또한 이렇게 방귀를 구성하는 기체들은 대부분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물에 녹지 못한 기체는 부력 때문에 위로 상승하려고 합니다. 기체가 물을 헤치고 위로 상승하면서 물과의 마찰이 발생하고, 이 마찰로 인해 작은 물방울들이 형성되는 것이죠.

    물에 녹지 못하고 위로 상승한 기체는 주변의 물에 퍼져 나가고, 이렇게 퍼져 나간 기체 분자들을 통해 냄새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물 속에서 방귀를 끼면 물방울이 생기고 냄새가 나는 것은 방귀에 함유된 가스와 성분들이 물과 상호작용하여 확산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욕조에서 물속에서 방귀를 뀌면 물방울이 생기고 냄새가 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우선 평상시에 방귀를 뀌면 그냥 공기 중으로 확산이 되기 때문에 냄새가 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욕조에서 물속에서 방귀를 뀌면, 방귀의 기체가 물속에서 기체 방울을 형성하며 빠르게 상승합니다. 기체 방울이 수면에 도달해 터질 때, 방귀의 냄새 성분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어 냄새가 나게 됩니다. 물은 일시적으로 기체를 가두지만, 결국 기체가 물을 뚫고 올라오면서 냄새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 물 속에서 방귀를 뀌면 가스가 물을 통해 방울 형태로 올라오며, 공기 중으로 퍼져 냄새가 납니다. 이는 방귀 속의 가스가 물을 밀어내며 방울을 형성하고, 방울이 표면에 도달하면 터지면서 냄새를 공기 중으로 방출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