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4.01.23

고려 청자 특유의 비취색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건가요?

고려시대에는 공예 기술이 발달했고 그 중에서 고려 청자는 으뜸으로 꼽히며 도자공예의 최고 전성기 였잖아요.

고려청자에 은은하게 드러난 비취색은 어떤 재료나 기술로 만들어지는 색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청자의 비취색은 유약속에 작은 기포가 형성되어 반투명한 유약과 바탕흙이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만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약에는 철과 이산화규소(SiO2)가 들어있는데 이들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규산제일철(FeSiO2)이 고려청자의 비취색을 낼 수 있다는 해석이 있습니다. 유약 성분 중에서 규소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는 사실에 근거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자기를 구울 때 불완전연소로 생긴

    일산화탄소가 청자 표면에 있는 산화철을

    환원시키는 과정에서 철이온이 많으면

    푸른색을 내기 때문에 유약과 작용하여 청자도 푸른 비취색을 띠게 되는 거환원된 산화철에 함유된 철 이온 때문에 청자가 비취색을

    띄게되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2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는 상감이라는 공예 기법을 활용합니다. 상감기법이란 표면에 무늬를 새기고 다른 색 흙을 메운 후 유약을 발라 굽는 기법입니다. 비취색이 아닌 흰색, 진한 색 부분들은 그림을 그린 것이 아니라, 다른 색의 흙을 채워 넣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비취색 청자를 만들 땐 철분 함유량이 낮은 미세한 입자의 흙을 써야 합니다. 왜냐면 흙 속에 철이온이 적을수록 연한 녹색을 띠고, 많을 수록 진한 갈색을 띠기 떄문 입니다. 철 함유량이 낮아야 초벌 구이 시 표면에 낮은 산화철이 생성되고, 밀폐된 가마에서 구울 때에 낮은 농도의 철 이온을 유지해서 비취색이 발현될 수 있는데 흙에 든 철의 양은 우리가 쉽게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아쉽게도 주변에 있는 흙으로는 비취색 청자를 만들기 어렵다고 하는데 어느 물리학자가 고려청자의 고장인 전남 강진에서 많은 고려청자 조각을 조사하여 밝혀낸 사실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비취색은 철분과 불꽃의 반응으로 나타나는데 가마에서 그릇을 불로 굽는 과정을 번조 라 하는데 산화불꽃으로 굽는 방식을 산화번조, 환원 불꽃으로 굽는 방식을 환원번조라 합니다.

    산소가 충분할 때 생기는 붉은 불꽃을 산환불꽃, 산소가 부족할 때 생기는 푸른 불꽃은 환원불꽃이라 합니다.

    청자를 만들 때 흙과 유약에 든 철분과 산소가 만나 결합하지 못하도록 가마 안을 산소가 부족한 상태로 만들어 환원 번조 방식으로 굽는데 불완전 연소로 생긴 일산화탄소가 흙과 유약속의 산소를 없애 이로 인해 은은한 녹색과 푸른색을 띄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청자 비색의 숨은 비밀, “산화철의 환원”. 고려청자를 구울 땐 산소 함량이 낮은 밀폐된 가마(전문용어로는 “환원염”이라고 해요)에서 구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