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겸손한스라소니204
겸손한스라소니20423.09.05

부동산 가격은 왜 계속 상승하고 있나요?

역대급 저출산에 미분양 아파트는 넘처나고 인구는 줄어드는데 왜 계속 부동산 가격은 오를까요 시장경제 원리를 보더라도 점점 수요에 비해서 공급은 늘어 날거같은데 부동산가격이 안내려가는게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질문의 제시한 부분이 틀린 사실은 아니지만, 현상황에서 수도권 기준 인구감소에 따른 수요감소가 현실화 된 상태가 아니고, 아직도 공급이 수요보다 적은 상태로 볼수 있습니다. 즉, 미래에는 질문처럼 수요는 줄고 공급이 늘어나거나, 지금과 같다면 수요감소에 따른 주택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지만, 현 상황에서 바로 적용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모든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르는 곳은 계속해서 오르고 어느정도 멈추는 지역이 존재합니다.


    저출산 미분양에 아파트는 넘쳐난다고 누가 그럽니까 저출산이 최근들어서야 문제점으로 크게 작용하는것처럼 미디어에서 노출될뿐 계속해서 신도시의 경우 초등학교 중학교 등을 짓고 있습니다. 물론 예전에 비해 줄어드는 인구는 계속해서 줄어져 왔습니다. 인구절벽이란말이 있듯이 인구가 줄어드는 것 또한 맞습니다.


    하지만 아파트 공급은 아직도 부족한게 현실이며 아직 부모의 곁을 떠나지 못하는 가구도 많습니다. 이는 일자리와도 연관되어 있으며 일자리 인근의 지역의 부동산 가격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대부분의 일자리가 서울 광역시 급에 몰려있거나 수도권에 몰려있어서 계속해서 인구는 이동하지만 시골의 경우 인구가 점점 줄어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아파트의 형태가 변하고 크기가 변하며 물가는 상승하면서 부동산의 가격은 계속해서 움직입니다. 마냥떨어지는 것도 없고 계속해서 올라가는 것도 없습니다.


    부동산 가격상승을 이끄는 다양한 요인중 수요와 공급이 가격을 결정하기는 하지만 아직도 공급은 부족하고 수요는 풍부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간단할것 같은데요..

    물가는 왜 안내려 갈까요 ? 자장면 가격이 700원 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어느순간 천원이 넘어가고 이천원이 되고 지금은 육천원 하는 시기 입니다. 양은 똑같고 맛도 별반 달라지지 않았는데 말이죠.

    물론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는 점점 벌어지고 심해질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지역에따라 가격차이는 더 날겁니다

    임금인상 ,모든자재값이 오르고 지가가 오르다보니

    부동산 가격이 오를수밖에 없나봅니다

    현장에서 일하는 한사람으로서 부동산경기가 안정이 되어서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기를 바랍니다

    그래야 거기에 따른 부수적인일들도 원활해 질텐데 걱정입니다

    저역시 가격이 좀더 내렸으면 합니다

    편안한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국민들 재산중에 70~80%가 넘는비중이 부동산 입니다. 정치적으로 집값을 지켜줘야 정권을 계속유지 할수있기 때문이죠. 그러나 정책만으로는 한계가 있기마련 입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그게 반영되는 시점이 아직은 아니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진짜 저출산이 이대로 가면 영향이 없을수는 없을 것 같긴한데 지금 아이들이 집을 사게 되는 2~30년 뒤쯤에 영향이 나오지 않을까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