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STONER
STONER

종잣돈이라고 함은 보통 얼마의 금액을 이야기하나요?

재테크를 검색하다보면 매번 나오는 종잣돈이 많이 언급되는데요? 종잣돈이라고 함은 보통 차이가 있겠으닟평균 얼마를 두고 이야기를 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과거도 그렇지만 현재도 기준은 우선 1억을 언제 만드는지가 중요합니다

    • 1억도 요즘은 내가 하고싶은 것을 마음껏 하기에는 부족합니다

    • 그럼에도 1억을 모았던 경험과 노력은 다 재산으로 남게 되기에 어느 때 보다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딱 정해진 종잣돈의 기준은 없지만, 보통은 투자, 창업, 내집마련 등을 위한 자금으로 말하곤 하는데요.

    이에 그 목적에 따라 조금씩은 기준이 달라질 것 같습니다.

    투자라면 100~1,000만원, 창업이라면 아이템마다 다르겠지만 소자본이라면 1,000만원 이내,

    내집마련이라면 1억정도 까지도 종잣돈이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 차이마다 다르겠지만 종잣돈의 의미는 씨드 머니 즉 자산 증식의 시작점이 될만한 자본을 말합니다.

    예전엔 5천만원정도가 종잣돈의 일반적인 기준이였는데

    현재는 1억 정도 큰 거 한장이라고도 하죠. 그 정도는 있어야 장사든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투자가 가능한 정도로 얘기가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종잣돈이란 투자나 재테크, 비상자금 등 미래를 위한 밑천이 되는 자금을 뜻합니다.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보통 주식,부동산 등 본격적 투자에 사용할 수 있는 1천만원~1억원 정도를 종잣돈으로 꼽습니다. 연령, 목적, 소득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각자 실현 가능한 목표 금액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기준은 제각각이지만, 실무에서 자주 들었던 바로는 종잣돈이라고 할 때 보통 500만 원에서 3천만 원 사이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500만 원 정도면 소규모 주식 투자나 ETF, 적금이나 예금 정도로 시작할 수 있고, 1천만 원이 넘어가면 부동산 소액 투자나 사업 초기자금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폭이 좀 넓어지거든요. 물론 월급에서 조금씩 모은 돈도 종잣돈이고, 갑자기 생긴 목돈도 종잣돈인데, 중요한 건 이걸 어떤 목적과 계획으로 쓰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는 점입니다. 단순히 금액 기준으로 정의한다기보다는, 돈을 굴려보기 시작하는 ‘출발점이라고 이해하는 게 더 정확하다는 느낌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종잣돈의 규모는 개인의 투자성향, 현금흐름, 투자 상품 등에 따라 다르지만 소액의 경우 500만원 이하, 일반적인 종잣돈은 1000만원~3000만원을 의미하는게 통상적인 금액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드머니인 종잣돈은 나이와 지역 등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최근에는 보통 5천만 원에서 1억 원 사이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KB금융지주에서 매년 발표하는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부자들이 생각하는 부의 토대가 되는 종잣돈의 최소 규모는 평균 약 7억 4천만 원에서 8억 원 정도입니다. 이들은 평균 40대 초반에 이 정도 금액을 모아 자산을 불려나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서 '부자'의 기준은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을 보유한 사람을 말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 목표로 1억 원을 많이 설정합니다. 1억 원은 투자할 수 있는 자산의 종류나 규모를 확장시켜주고, 복리 효과를 체감하기 시작하는 중요한 금액으로 여겨집니다. 1억 원 만들기는 재테크의 흔한 첫 단계 목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종잣돈이라고 하면 500만원에서 2000만원 정도의 투자를 해볼만한 너무 과하지 않은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 정도 금액은 투자해야 수익을 어느정도 유의미하게 볼수 있으면서도 너무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종잣돈에 대한 내용입니다.

    종잣돈에 대한 공식적인 가이드 라인은 없습니다.

    어떤 분에게는 1,000만원도 종잣돈이 될 수 있지만

    어떤 분에게는 1억, 10억원도 종잣돈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황에따라다르긴하지만 부풀리는데 의미있는 시드머니,1000만원에서 1억사이를 보통 지칭하는듯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사회초년생 기준으로는 최소 천만원기준을 흔히 일반적으로 생각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즉 주식이나 예금 일반적인 리스크관리를 하면서 투자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국내주식 해외주식 현금이나 예금성격 채권등 이런 배분을 할때 최소 천만원이상 최소단위로 보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자산증식이나 의미있는 단위로 볼때는 1억 시드머니부터가 진정한 종잣돈이라고 하며 제입장에서도 1억부터가 진정한 기준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