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건설회사의 시공능력순위는 어디에서 볼수 있나요?

건설회사는 시공능력을 보고 건설할수 있는 능력을 본다는데

시공능력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시공능력순위는 어디에서 볼수 있나요?

시공능력에 따라 공사수주를 신청시 제한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홍성택 공인중개사
    홍성택 공인중개사
    중앙전문학원

    국토교통부 웹사이트나 전문매체를 통해 시공능력 순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건설업계에서는 시공능력 평가를 위해 별도의 시공능력평가기관이 운영되기도 합니다

  • 건설사 순위는 삼성물산,현대건설,LG건설대우건설,포스코건설등 순위로 정해지는데 얼마나 부실공사 건수가 없는지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시공사 능력평가는 전년도 공사실적, 경영 및 재무상태, 기술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각 업체가 1건의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금액으로 환산한 뒤 매년 7월 말 이를 공시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발주자는 시공능력평가액을 기준으로 매겨진 순위를 보고,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하는데 사용하고 있는데요.

     공공공사는 부실공사 또는 폐컴 입찰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민간공사에 해당하는 신탁사나 재건축 조합에서는 시공능력평가순위를 근거로 입찰참여를 제한하고 시공사를 선정하고 있고, 하도급공사에서는 공사예정금액의 1~3백의 식공능력평가액을 요구하고 있답니다

    그러나 현재 공사실적, 재무상태, 기술자 수 등 본질적으로 의미가 다른 평가요소를 금액화한 뒤 단순 합산하고 있어, 시공능력을 왜곡할 우려가 큰 데다 평가액 자체도 상당히 부풀려있다고 지적을 받고 있답니다

  • 건설회사의 시공능력순위는 해당 회사가 수행할 수 있는 건설 프로젝트의 규모와 난이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순위는 주로 건설업계에서 건설회사를 평가하고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1. 시공능력 계산 방법: 시공능력 평가는 대체로 건설회사의 재무 상태(자본금, 부채, 매출액 등), 기술력(기술자의 수, 보유 기술 및 자격증 등), 과거 실적(완료한 프로젝트의 규모와 품질) 등을 기반으로 합니다. 각국의 건설 관련 정부 기관이나 업계 협회에서는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복잡한 계산 공식을 적용해 건설회사의 시공능력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깁니다.

    2. 시공능력순위 확인 방법: 각 국가마다 시공능력 순위를 발표하는 정부 기관이나 업계 협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서는 국토교통부가 매년 건설회사의 시공능력 평가 결과를 공개하며, 이 정보는 국토교통부 홈페이지나 관련 협회 및 기관의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 엔진에서 '시공능력순위'와 같은 키워드로 검색하면 관련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3. 시공능력에 따른 공사 수주 제한: 네, 시공능력에 따라 공사 수주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크고 복잡한 프로젝트는 높은 시공능력 순위를 가진 회사만이 수주할 수 있습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수를 위해 필요한 재무 안정성, 기술력, 경험 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반면, 낮은 순위의 회사는 그 규모나 난이도가 더 낮은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설회사는 더 큰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위해 시공능력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야 합니다.

    시공능력순위는 건설 프로젝트의 품질, 안전, 그리고 성공적인 완수를 위한 중요한 기준이므로, 건설회사 선택 시 이를 잘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시공능력이라는게 결국은 공사규모가 크고 많은 공사를 수주한 건설사로 이해할수 있고 종합적으로 토건시평액을 기준으로 판단해볼수 있을 듯 합니다. 토건 시평액은 시공평가액을 말하며, 2023년 기준으로 국내건설사 시공액 순위를 보면, 1위는 삼성물산(레미안)입니다. 토건 시평액 20조 7천억에 해당하며, 2위는 현대건설, 토건 시평액 15조, 3위는 대우건설이며, 9조7천억대 입니다. 위 자료는 네이버상 검색을 해도 충분히 확인 가능한 부분입니다. 그리고 시공능력은 이를 맡기는 시행사등이 판단하여 결정할 문제이지, 별도로 법으로써 수주를 제한하는 것은 아닙니다.

  • 건설회사의 시공능력은 공사의실적에 따라 결정이 되고, 토목의건축,

    환경설비, 조경, 도로, 지하철, 상하수도, 택지용지조성등의 주요공사별로 순위가 매겨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공사의실적, 기업경영상태, 신인도,기술의 능력 등을 모두다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또한 국토교통부에서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결과 공시를 통해 조회가 가능합니다.

    시공능력은 공사수주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매년 7월 말 국토교통부에서 시공능력평가순위를 발표합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볼 수 있고요.

    시공능력에 따라 공사수주 신청시 제한하지 않고

    발주자는 평가액을 기준으로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하는데 참고 하며

    조달청에서는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도급하한제 근거로 활용합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