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재빠른거북이 795
재빠른거북이 79523.08.23

환율이 높은데도 금리를 안올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데 과거에는 1000원대로 알고 있습니다. 금리를 올려야 환율방어를 할텐데 한은이 끝까지 금리를 올리지 않고 버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4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안정된 데다 중국발 악재에 우리나라 경기 회복 지연 우려가 높아지면서 금리 인상으로 대응할 필요가 낮아졌다는 점에서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달러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해도 금리를 올리지 않았던 이유는 우리나라의 부채 수준이 전 세계에서 순위권을 다투고 있기 때문이에요. 게다가 이 부채들의 22%정도가 디폴트 위험 즉, 파산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금리를 올리게 되면 경제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서 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에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세계에서 가장 좋은 가계부채를 가지고 있기 떄문에 금리 인상시 가계부채 문제로 인해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 한국은행의 경우 금리인상에 매우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상은 위축된 경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한국 경제는 부동산 비중이 큰데 금리 인상은 부동산 시장에 직격탄이 될 수 있습니다. 이미 3.5%의 기준 금리도 높은 편이라 환율 보다는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위축에 더 방점을 두고 추가 인상 보다는 동결이 유력한 상황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계 부채 및 기업 부채가

    상당하며 부동산 PF 시장과도 직결된 문제로

    쉽사리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 가계부채가 매우 높은 국가 중 하나 입니다. 금리를 올림으로서 발생하는 부담이 환율이 높아서 발생하는 경제적 부담보다 더 크다는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처럼 금리를 올릴 수 없습니다.

    이미 레고랜드사태와 얼마전 새마을금고 사태, 그리고 계속되는 제2금융권 PF 부실 증가가 문제입니다. 더욱이 가계대출, 중소기업대출이 많아 만일 금리를 올린다면 시장에 더 큰 충적을 줄 것입니다. 그래서 한은에서 금리를 올려야 하는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는 것은 경제에 대한 중앙은행의 정책 결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거나 인플레이션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올려 경제를 안정화시키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제 상황이 안정적이고 인플레이션 위험이 낮다면 금리를 유지하거나 낮출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