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환율 개입 요구, 한국 경제 위기일까요?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 협의에서 환율 개입 요구를 받고 있다는 보도가 있습니다. 이런 요구가 한국의 외환시장, 수출 경쟁력, 통화정책 운용에 어떤 리스크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환율 개입 요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한 나라의 환율에 외국의 인위적인 요구를 받게 되면
위기가 찾아오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 협의에서 환율 개입 요구를 받고있다는 말씀이 무슨 말인지 궁금합니다. 어디서 그런 뉴스나 기사를 보셨을까요? 전혀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라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환율 개입요구는 한국은 외환시장에서 직접적으로는 아니지만 통적으로 수행해온 스무딩 오퍼레이션이 제한될 수 있는데 이는 암묵적으로 한국은행이 외환시장에서 조용히 일정구간에서 개입을 해왔는데 이런 요인이 없다면 그만큼 변동성이 확대가 되는 계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정 시기에 외환 개입 능력의 제약은 환율이 오버슈팅할 수 있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고 이런 변동성은 대외신인도의 하락까지 발생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결국 미국의 환율 개입은 일종의 일정 구간대의 환수준으로 고정하라는 압박으로 이어지게 될텐데 이는 한국의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하는데도 간접적인 제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제 문제가 되며 이는 환율이 일종의 고정된 구간으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인 금리 인상이나 인하에 대해서 일종의 발목을 잡는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런 외환시장의 불안이 수출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한국의 실물경제인 수출과 수입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한국경제에 있어서 리스크로 작동할 수 있는 요소는 분명히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의 원화 환율 상승은 원화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미국 측의 요구는 한국 금융 당국의 부담이 될 것이고 외환 보유고 활용 등 불필요한 외환 유출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과거 1998년 IMF 금융 위기는 한국 등 동남아 일부 국가에 한정된 위기였는데 현재는 앞서 말씀 드린 대로 원화 뿐 아니라 거의 모든 통화가 미달러 대비 약세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고 QZ 등 양적 완화가 필요한 시점이 점점 다가오고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 이외 국가들과 공조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환율개입 요구는 한국의 통화정책 자율성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수출 가격 경쟁력과 외환시장 안정의 균형이 중요해집니다.
환헤지 전략과 결제 통화 다변화로 리스크를 관리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환율 개입 요구는 우리나라 경제의 위기라기 보다는 통화 주권 침해로 봐야 할 듯합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환율조작국 의심국가로 모리터링 대상이고 최근 한미 환율정책 합의로 시장 개입 시 월 보고 의무가 부과됐습니다.
이런 요구에 응할 수 없음으로 외환시장 개입 제한으로 원화 변동성이 더 커질 것입니다.(현재 1430원대 고착화 우려)
그리고 수출 경쟁력에서는 원화 약세 유지는 수출 유리하나, 미국 압력으로 강제 안정화 어려워 관세 협상 지연 시 결국 수출에 타격이 예상됩니다.
또한 통화정책 운용의 영향으로 한국은행 독립성 약화를 야기시킬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환율 개입 요구는 외환시장 개입 내역을 보고하고, 정부 투지가관의 참여까지 감시받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한국의 통화정책 운용에 제약을 줄 수 있고, 환율의 변동성 관리를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환율 개입 문제를 꺼낸 건 단순한 압박이라기보다, 자국 물가나 무역 적자 관리 목적이 더 큽니다. 보기에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운 카드이긴 합니다. 원화가 급격히 오르거나 내리면 수출기업 수익에 바로 영향을 주니까요. 현실적으로 보면 환율 개입을 제한당하면 시장 변동성에 대응하기가 훨씬 어려워집니다. 통화정책 쪽에서도 금리 조정 폭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에 있어서 현재 우리나라의 역량으로 방어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상황에 놓였습니다.
따라서 미국의 통화스와프를 요청했지만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상황입니다
경제가 혼란해지고 안전자산을 찾을수록 우리나라의 자산은 매도하게 되어 있어서 앞으로
환율이 더욱 치솟을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