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은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한국의 주력 산업에는 반도체, 자동차, 철강, 조선, 그리고 전자제품 등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산업들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각각 산업의 세계 경제적 비중과 중요성에 대해 안내 드립니다.
반도체
한국은 세계 반도체 시장의 약 20%를 차지하며 특히 메모리시장에서는 글로벌 점유율 50%이상을 차지 합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1, 2위를 기록하며 이 부분에서는 한국의 지배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스마트폰, 자동차, 데이터 센터 등 모든 첨단 기술의 핵심부품으로 디지털 경제의 필수 기반 입니다.
자동차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약 10% 이상 점유율을 기록하면 전 세계 상위 5위권 자동차 제조사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한국은 전기차 및 수소차 시장에서도 기술력을 바탕으로 점유율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는 제조업 고용과 수출의 중심에 있으며, 특히 한국은 친환경 차량 개발로 탈탄소 시대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철강
한국의 포스코는 세계 5대 청강사 중 하나로 자동차, 조선, 건설 등의 핵심 소재를 공급 합니다. 글로벌 철강 생산량의 약 5%를 차지하며 고급 강재 생산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철강은 산업의 뼈대로 불리며 자동차 및 조선 산업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조선
한국은 2024년 기준 세계 선박 수주량의 약 40%를 점유하면 LNG선,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은 조선업의 글러벌 리더이기도 합니다.
조선은 글로벌 해운 및 물류망의 기반을 제공하며 친환경 선박 개발에서 한국은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조선, 철강 등은 글로벌 산업 공급망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한국 전체 수출의 약 70% 이상이 주력 산업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국가 경제 성장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반도체의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1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DRAM과 NAND 플래시 분야에서 각각 약 5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고 특히 SK하이닉스의 경우
HBM분야에서는 최고의 자리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의 경우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 순위에서 5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EV)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며, 2023년에는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 2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철강의 경우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고급 철강재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포스코는 세계 5대 철강 기업으로, 지속 가능한 친환경 철강 생산 기술에서도 앞서 나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 철강,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메모리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점유율을 합치면 세계 1등이며, 자동차 또한 현대, 기아차가 세계 4~5위 권으로 점유율을 늘리고 있습니다.
조선 분야는 중국의 약진으로 밀리고 있지만 고부가치 선박은 중국이 아직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철강의 경우 전세계 총생산량은 17억톤 가량이며 이중 6000만톤이상을 한국이 담당하고 있고, 세계에서 6위에 해당되는 수치입니다. 1위는 중국이며, 전체 공급량의 55%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최근에 철강의 과잉공급으로 중국의 덤핑판매등으로 인해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습니다, 반도체의 경우는 기술적 특성이 있기에 생산가능한 국가가 많이 없는 상태이고 우리나라 삼성잔자와 하이닉스가 전세계 시장점유율 top3 안에 들어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조선의 경우는 알다시피 기술력, 생산성면에서 우리나라가 전세계 1위산업이고, 자동차의 경우 현대차가 전세계에서 경쟁을 하고 있으며, 상위순위에 링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위 산업군들이 한국 수출의 주력이며, 이러한 산업들의 경쟁심화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경쟁에서 밀린 경우 내수가 부족한 우리나라 경제성정에는 치명적인 마이너스가 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