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해 수출의 전체규모가 줄어들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까요?
관세 충격에 대응하기 위한 수출 구조의 다변화 전략은 어떤 분야에서 구체화될 수 있을까요?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부와 산업계의 협력 모델은 어떻게 설계되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미국의 관세정책 등에 따라 우리나라 수출은 전년대비 감소할 것을 추측하는 시각이 많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전략은 수출구조 다변화 전략, 신성장 산업 중심으로의 발전,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등이 있습니다.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R&D 투자 확대, 규제 개선, 인재 양성 등 정부와 산업계가 협력하는 상생 모델 설계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결국 정부는 협상을 잘하고, 기업은 물품에 대한 관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을 짜야됩니다. 아울러 수출의 다변화는 현재 매우 어려우며, 이는 미국이 대체불가능한 전세게 1등 소비국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국에 수출이 어렵다는 것은 결국 전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수출 규모가 줄어들면 바로 체감되는 건 성장률 둔화입니다. 우리 경제는 여전히 수출 의존도가 높아서 조금만 줄어도 기업 실적과 고용에 영향을 줍니다. 반도체 한 품목만 흔들려도 전체 흐름이 같이 흔들린다는 점이 특히 아쉽습니다. 그렇다면 대응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특정 산업에만 의존하지 않고 여러 시장으로 나눠야 합니다. 자동차와 배터리 같은 전통 강점에 더해 방산 콘텐츠 바이오 같은 신성장 분야가 후보가 될 수 있습니다. 정부가 할 수 있는 건 단순 지원금이 아니라 해외 인증 절차 간소화나 무역 협정 확대 같은 제도적 뒷받침이고 산업계는 기술 개발과 공급망 협력으로 맞물려야 합니다. 하지만 이런 전략이 효과를 내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니 지금은 체질 개선의 과도기라고 보는 게 맞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