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불안한게...각 가정에 가계부채가 많은 이유는 뭔가요?
한국 가정들 보면 집집마다 빚이 없는 집을 보기 드물잖아요
왜 이렇게 각 가정마다 빚이 없는곳을 찾기가 힘들까요?
그것도 해마다 어마어마하게 늘어난다는데...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각 가정에 가계부채가 많은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생활비 등으로 인한 가계 대출도 있지만
주로 주택을 구매할 때에 대출을 통해서
주택을 구매하게 되기에 가계부채가 많이 늘어나게 된 것입니다.
1명 평가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계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2024년 기준 한국의 가계부채는 약 1,900조 원을 넘겼으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0%를 넘는 수준입니다.
이유는 한국 사회는 내 집 마련 1인 집 구성이 곧 자산 저축의 시작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전세제도도 결국엔 대출을 끼고 전세금을 마련하는 방식이 많아져 가계부채로 이어졌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가정마다 빚이 많은 이유는 투기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소득이 없는 것이 아닌데 집값이 계속 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불안감으로 우선 대출부터 내서 아파트를 매입하는 것이 한국인들의 특징입니다. 따라서 가계마다 부채가 없는 곳이 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의 주된 원인은 수도권의 집값 상승과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크게 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영업자의 부채 증가와 경기 침체 또한 가계부채의 증가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저금리, 부동산 시장 과열, 금융기관의 대출 확대, 정책적 지원, 소득 정체 등 복합적 요인으로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제 성장과 자산 불평등, 금융 안정성에 장기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택가격이 급등했던 2013년∼2014년, 2021년∼2023년 사이에 주택담보대출의 비중이 크게 상승했고, 가계부채는 이때 가장 급등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가계부채가 많은 주된 이유는 부동산 중심의 자산 형성 문화 때문이에요. 집을 사기 위해 대출을 받는 것이 일반화돼 있고, 전세 제도도 사실상 간접 대출 구조예요.
또한 저금리 시대에 신용대출이나 카드론 같은 소비성 대출도 급격히 늘어났고, 자녀 교육비나 생활비 부담도 커서 부채가 쉽게 줄지 않아요.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의 대다수는 주택담보대출이며 기타 신용대출이나 사업대출로 인한 증가세가 아닙니다
즉 현재 시중은행이 대출자산이 90프로가까이고 부동부동산담출로 이루어졌습니다 즉 그동안 여러 대출완화 정책과 저금리 환경으로 가계의 담보 대출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 자금이 부동산 자산시장으로 유입이 된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택 마련을 위한 대출 비중이 크고, 신용카드, 마이너스 통장 사용이 일상화된 게 원인입니다. 낮은 금리에 따른 과도한 댗출 증가도 있었고 사회적으로 소득보다 지출이 앞서기 쉬운 구조 입니다.
가계 소비 구조 개편과 금융교육 확대가 장기적으로 꼭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부동산 편중이 심합니다.
이에 대출 등을 상당히 끼고
주택 매수를 하는 경우가 많아
가계부채가 많은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경제의 불안정성에 가계부채가 많은 것이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계부채가 많은 것은 가계의 주택대출 등이 많기 떄문입니다. 이는 주거에 필요한 것이 급여를 통해서 마련할 수 없고, 대출을 통해 큰돈을 마련해야만 가능하기 떄문입니다. 요즘에는 이러한 대출을 갚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정부에서는 이러한 대출 중 조건에 해당될떄는 대출을 없애주는 것을 고려중인것으로 알려져 이씁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가계부채가 많은 이유는 바로 부동산 중심의 자산 형성 구조로 인한 과도한 전세, 주택 대출 때문 입니다. 그 동안 집 값 상승 기대에 따라서 무리하게 빚을 내 주택을 매수 하거나 전세 자금을 마련하면서 대출 의존도가 높아졌죠.
그리고 자영업자 비중이 높아서 코로나 이후 소득이 급감하면서 생활비나 사업자금도 대출에 의존하게 된 영향도 크다고 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 증가는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는데 먼저 저금리 상황에서 쉽게 대출이 가능해 가계부채 증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의 경우 부동산 가격의 상승으로 대출없이 집장만이 어려워 가계부채 증가에 한몫을 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