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24.04.13

액체 방울 하나하나는 왜 막이 형성될까요?

액체마다 정도가 다르기는 하겠지만(순수한 물, 음료, 피 등) 액체하나를 바닥에 떨어뜨리면 흡수되지 않으면 대부분 더 이상 퍼지지 않고 동그란 모양으로 고정이 되잖아요? 그럼 액체 방울에 막이 형성되는 것인지 아니면 어떤 다른 설명이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액체 방울이 동그란 모양으로 고정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표면장력이라는 힘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표면장력으로 인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하여 물이 퍼지지않고 동그랗게 일정 모양을 유지하게 되는데요.

    일상 생활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는 컵에 물을 계속 따르다보면 컵보다 물이 조금 더 붓게 되면 쏟아지지 않고 일정 수준까지는 컵 밖으로 안흐르고 동그랗게 모양을 유지하면서 버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표면장력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액체가 동그란 모양으로 고정되어 있는 이유는 표면장력 때문에 그렇습니다 액체 분자들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이 힘은 액체 표면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납니다. 표면 장력은 마치 얇은 막처럼 작용하여 액체 방울을 둥글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