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더워요111
더워요11124.02.08

조선 왕들의 호칭 중에서 누구는 종, 누구는 조로 불리는데 어떤 기준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선 역사에 보면 왕들의 칭호가 어떤 왕은 종 (대표적인 예, 세종)

어떤 왕은 조 (예시: 영조) 로 불리게 되는데

이는 어떤 기준으로 종과 조로 나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의 뒤에 붙는 '조, 종, 군'은 왕이 죽은 후에 신하들에 붙은 묘호라고 합니다.

    나라를 세운 임금에게는 '조'를 붙였다고 합니다.

    계통을 이은 임금 즉 덕이 있는 왕은 '종' 을 붙였습니다.

    폭정으로 왕위에서 쫓겨난 경우에는 '군'을 붙였다고 합니다.

    조선의 왕 27명 중 7명은 조, 18명은 종, 2명은 군이 붙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 는 한 왕조를 창업하거나 그에 준하는 탁월한 공이 있다는 의미 큰 업적이 있는 왕들에게붙여졌습니다다


    종 은 덕으로서 나라를 다스리고 문물을 융성케 한 왕에게 붙여진 묘호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묘호는 왕의 사후 종묘에 신위를 모실 때 붙이는 호이며, 왕의 공덕과 정통성을 나타냅니다. '조'는 나라를 창건하거나 그에 준하는 공이 있거나 선대 왕의 뜻을 잘 계승하여 종묘사직을 지킨 왕에게 부여하는 묘호입니다. 태조, 세조, 인조, 정조 등입니다.

    '종'은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하거나 성인의 덕이 있거나 나라를 다스리는 것에 덕이 우세한 왕에게 부여하는 묘호입니다. 태종, 세종, 성종 등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왕들의 호칭은 왕의 업적이나 신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왕의 업적이 뛰어나거나 국가의 안정에 기여한 경우에는 '조'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종'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세종대왕은 조선 역사상 가장 뛰어난 왕으로 평가되어 '세종'이라는 이름을 사용합니다. 반면에 연산군은 폭정으로 인해 왕의 자격을 박탈당하여 '군'이라는 호칭을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묘에서 부르는 이름, 묘호

    묘호는 시호와 다르게 조 혹은 종을 붙여 짓는데, 보통 조는 공이 탁월한 왕에게, 종은 덕이 출중한 왕에게 붙이는 것이 관례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일반적으로 '덕'이 있는 임금은 '~종'이라는 묘호를, '공'이 있는 임금은 '~조'라는 묘호를 받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종대왕은 훈민정음 창제 등으로 백성들에게 덕을 베풀었다고 하여 '세종(대왕)'이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태조 왕건과 조선 태조 이성계처럼 창업군주를 일컫을 때 조를 씁니다. 종은 적장자에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조선에는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등이 있습니다. 개국과 이에 준하는 혼란으로부터 백성을 구했다는 점이나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백성을 구했다거나 정쟁으로부터 백성을 구했을 때 묘호를 조로 정했습니다. 연산군이나 광해군처럼 폐위된 욍들은 묘호를 받지 못해 군으로 불리워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