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세금·세무

법인세

강한강아지2
강한강아지2

원가에서 인건비, 전기세와 같은 비용은 같이 계산해야 하나요?

예를 들어 카페를 운영하는 사장님이 음료 한잔에 들어가는 원가, 비용을 계산한다고 치면,

음료 한잔을 만들 때 들어가는 여러가지 재료의 비용이 있을텐데, 재료 외에도 카페에서는

인건비도 들어가고 전기세, 수도세 등 여러가지 비용이 또 있잖아요? 그런 것들을 전부

그 음료 한잔에 넣어서 계산을 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재료는 단위가 있어 한 잔당 계산이 쉽지만, 인건비 등은 단위도 없고 '한 개' 이런 식으로 나눌 수가 없잖아요?

음료 한잔을 팔 때 들어가는 원가를 어떻게 해야 정확히 계산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부분의 경우 정확한 원가 계산을 한다고 하면 배부하는 것이 맞지만, 투입대비 효용이 크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전기요금, 수도요금, 인건비 같은 경우는, 카페에서 하루에 예상되는 판매량으로 나누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예를들어 저 비용이 월 100만원이라고 할 경우, 월 예상 판매 음료 갯수가 2만잔 이라고 하면 1 잔당 50원.. 이런식으로 하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운영하시면서 예상 수량의 오차가 크다고 판단되면 적절히 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마승우 세무사입니다.

      매출원가의 개념은 해당 매출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느냐에 따라 연결됩니다. 인건비와 임차료 등 역시 커피를 만드는 데 소요되는 주요 비용입니다. 예상 판매수량을 산출하여 전체 비용을 수량으로 나누어 원가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혁 세무사입니다.

      비용을 구분하는 유형 중 직접원가/간접원가가 있습니다. 해당 음료에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재료, 인건비 등은 직접재료원가나 직접노무원가로 구분하여 계산이 가능할 것이고, 구획할 수 없는 임차료 등의 간접원가는 업종 등의 상황에 맞는 기준으로 안분하여 배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승훈 회계사입니다.

      원가는 변동원가와 고정원가가 있습니다. 재료비는 직접적으로 대응가능한 변동원가라면, 말씀하신 인건비나 전기세등은

      준고정원가로 말씀하신대로 몇 잔을 파는지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원가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질의에 대한 답변입니다.

      카페의 경우 음료를 만들기 위해 소요된 원재료, 인건비, 전력료 등의 비용이 발생한 것이나, 매장을 운영하는 경우(판매장소) 그 매장과 관련된 지출은 원가가 아닌 판매관리비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카페에서 발생한 비용 중 재료비 이외의 비용은 음료원가와 판매관리비의 공통에 해당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 경우 합리적인 배부기준에 의해 음료원가와 판매관리비로 배부하여야 할 것입니다. 물론, 재료비 이외의 비용 중 음료를 만들기 위해서만 발생한다면 배부하지 않고 음료원가에 가산하여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백승호 세무사입니다.

      원가분석시에는 커피 한잔에 필요한 원두, 시럽, 물, 얼음과 같은 변동비용과 인건비, 임차료, 전기세와 같은 고정비용을 나누어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