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귀한할미새264
귀한할미새26422.06.07

알레르기 비염 이비인후과 진료 어떤약 주나요?

나이
36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고혈압약
기저질환
신장질환

제가 알레르기 결막염이 있는데

잘 낫질 않아서 물어보니 비염을 같이 치료해야한다네요

안과에서 안약과 레보진이라는 항히스타민약을 처방해줬어요

이비인후과 진료도 보려고하는데

보통 이비인후과에서 비염치료는 어떻게 하며

어떤약을주나요?

만약 레보진과 같은성분의 약을 또주면

둘중 하나만 먹으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비인후과에서 역시 같은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할 가능성이 높고 이와 더불어서

    스테로이드나 항히스타민제 성분의 코에 분무하는 점비액을 같이 처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경구용 스테로이드를 같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무엇보다도 원인이 되는 알레르기를 아는 경우, 이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여 염색

    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분들도 있어 염색 후 알레르기 결막염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가능한 염색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비염 치료에는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비충혈제거제 등의 약물을 증상의 정도에 따라 처방하여 적용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6.09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레보진도 항히스타민제이며 알레르기 비염에서 사용하는 약물입니다.

    알레르기 비염은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질환입니다. 항원에 노출되면 과민반을 일으키면서 콧물이 나고 기침이 나는 것입니다. 한번 알레르기가 생기면 이런 항원에 노출이 되면 항상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때문에 항원과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입니다. 봄가을에 공중에 떠다니는 꽃가루나 식물 씨앗에 대한 항원은 노출을 막기가 어려워서 계절성으로 발생하는 증상에는 항히스타민제 같은 약물로 조절하면서 대응하는 수 밖엔 없습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고 치료를 받으세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아토피를 비롯한 알레르기 질환은 알러지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이 체내에 들어오게 되면 세포 면역반응을 유발하여 신체내에 부종 및 염증 반응을 일으키게 됩니다.

    알러지는 증상을 가라앉히는 항히스타민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심한 경우 면역억제를 위해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원인 물질을 회피하는 방법입니다.

    정확한 알러지 유발 물질 검사를 위해서는 알러지 내과등에 내원하시어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비인후과를 내원하실 경우 유사한 약물을 처방받을 가능성이 크며 중복되는 약물이라면 모두 복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알러지 비염이라서 안과에서 복용약을 처방을 항히스타민을 받았다면 이비인후과에서는 콧물 재채기약등을 추가로받아볼수있습니다. 또한 염증약도같이 받아보실수있습니다. 진료이후에 증상에맞는약을 주실것으로 사료됩니다. 같은성분의 약이 있다면 둘중하나만드셔도됩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

    꽃가루 등의 알러지원 피하기(마스크 사용 등)

    침구류 세탁 주기적으로 하기 (진드기 등이 침구류에 붙어 알레르기성 비염을 일으킬수 있습니다.)

    약물 복용하기 (알레르기를 억제하는 약을 드셔야합니다.보통 항히스타민제를 드셔야합니다.)

    면역치료하기 (보통 병원에 주기적으로, 그리고 오랫동안 인내를 갖고 치료를 하셔야합니다.)

    개나 고양이를 키운다면, 동물의 털이나 비듬을 깨끗히 하셔야합니다.


  • 이비인후과에서도 마찬가지로 비염에 대해서는 항히스타민제 및 스테로이드제 등의 약물을 통해서 증상을 조절하며 경과를 지켜봅니다. 만약 비염이 비중격만곡증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이라면 수술적 치료를 할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알러지성이며, 알러지성 비염은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약물로 조절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만약 항히스타민제는 또 처방해주면 한 종류만 복용하셔야 하기 때문에 안과에서 약물을 처방 받았음을 이비인후과 진료를 볼 때 말씀드리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우선 원인물질을 파악하고 피하는 것이 첫 번째 치료원칙입니다.

    불가피하게 원인인자에 노출될 경우에는 항히스타민제 복용을 하면 콧물, 가려움증 증상에 어느정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코세척을 하면 증상호전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 및 스테로이드가 기본 약입니다.

    말씀하시면 그거 빼고 주시던지

    이비인후과 약으로 대체하던지 해주실거에요

    * 아하 답변은 통상적인 답변만 드릴 수 있으며 병원진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궁금한 사항있으면 댓글 남겨주십시오.


  •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

    안과에서 주는 약과 이비인후과에서 주는 약이 비슷할 것 같습니다. 만약 이비인후과에서 다른종류의 약을 준다면 이비인후과 약을 드시는게 맞고 처밭받기 전에 안과에서 어떤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미리 말씀드리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알러지성 비염의 경우 콧물이나 가려움, 재채기 증상에는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고 코막힘 증상에는 슈도에페드린 제제를 사용합니다.

    스테로이드 비강 스프레이나 슈도에페드린 제제의 비강 스프레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레보진의 경우에 항히스타민제와 이름이 비슷하긴 하지만 레보드로프로피진이라는 성분의 진해제입니다.

    성분이 겹치지는 않을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처방 받으신 약은 항히스타민제입니다. 가려움증을 줄이는 효과가 있지요. 아마 이비인후과에서도 같은 약을 처방해 주실 겁니다. 중복으로 드실 필요는 없고 안과에서 먹는약도 받았다고 말씀하시면 됩니다. 아마 코에 뿌리는 스테로이드를 처방해 주실 거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서원 의사입니다.

    알레르기비염의 경우 다양한 치료제를 쓸 수 있습니다.

    주된 증상이 코막힘인지 콧물인지 아니면 다른 것인지에 따라 항히스타민제부터 항콜린제, 스테로이드제까지 약물 처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복용하시는 약물에대한 정보를 이비인후과 선생님께 말씀드리고 치료계획을 세우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