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영어 금지하자는데 우리아이 미래엔 도움이되나요
미취학 아동 대상 영어 과외나 영어유치원 집중 교육을 법으로 제한하자는 제안이 나왔던데요 조기 교육 부담 줄인다고 하지만, 정작 아이의 영어 실력을 놓고 보면 나중에 뒤처지는거 아닌가요
미취학 아동에 대한 영어 금지에 대한 내용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법안의 취지는 정서 사회성 발달 우선, 과도한 사교육 문제, 국제적 비판 등의 이유에서입니다.
조기 영어교육은 찬성하는 입장은 언어 습득의 민감기, 경쟁력 확보, 자연스러운 환경 노출을 이유라 들고 있습니다.
대안이라고 하면
놀이 중심의 영어 노출, 부모와의 자연스러운 대화, 초등 이후 집중 교육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발달 단계와 성향에 맞는 교육 방식이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유치원 영어 금지법은 실제로 존재하는 법의 이름은 아닙니다.
영어를 사용하는 유치원의 운영 제한 또는 금지를 의미하는 사회적.정치적 표현 입니다.
영어 규체제 원인의 배경은
사교육비 부담. 발달 단계상 무리한 언어습득 우려. 공교육과의 충돌 등 입니다.
아이에게 영어를 물론 필요로 하는 제 2외국어는 맞습니다.
단, 아이가 스트레스 받지 않는 선에서 영어의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로 하구요,
또한 아이가 우리의 모국어를 완벽히 습득하고 한글을 다 깨우쳤을 때 영어 학습을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아이가 영어의 대한 관심과 흥미를 보일 때 아이가 영어 학습을 원할 때 학습을 시켜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미취학 아동 영어 교육 금지는 조기 부담 완화가 목적이지만 영어 학습 자체가 완전히 막히는 건 아닙니다. 이 시기는 언어 감각 발달과 놀이 중심 학습이 중요한 시기라, 억지로 과외를 시키는 것보다 자연스러운 노출이 더 효과적일수 있습니다. 조기 교육이 없다고 해서 반드시 뒤처지는건 아니고 흥미와 꾸준함이 더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해 주시는 부분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우려점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현재 영어 유치원이나 유치원 시기의 영어 조기 교육으로 인한 아이의 정서적 스트레스와 불안 등이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률적으로 제한하기보다는 어느 정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아이들이 스트레스 받지 않고 균형 잡힌 교육을 받도록 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