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투브에서 이제 ai로 만든 영상은 수익화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럼 ai로 만든 영상등을 걸러내서 수익을 못하도록한다는 건가요??
유투브에서 이제 ai로 만든 영상은 수익화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럼 ai로 만든 영상등을 걸러내서 수익을 못하도록한다는 건가요?? 정확히 어떤 영상을 수익화하지 못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쇼츠 등 AI로 주제와 형식을 주어 만들어서 손쉽게 업로드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이에 각 영상들에 대해서 7/15부터 인간적인 개입이 들어간 정상적인 컨텐츠만 인정하겠다는 말입니다.
AI를 도구로 사용하되 사람의 기여와 창의성이 들어가야 합니다.
따라서 AI의 목소리로 해설, 분석, 뉴스 읽어주는 등은 불가하고 실제 사람의 목소리, 해석, 분석, 리액션과 같은 인간적인 개입이 들어가야 한다는 뜻입니다.
워낙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되는 가짜 영상들이 만들어져서 배포되니 유튜브에서 환경 정화작업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Ai로 만든 영상에 수익화를 못하게 한다는 것은 유튜브에서 대량 생산되거나 창작성이 부족한 콘텐츠, 노력 없이 만든 영상에 대해 수익화 대상을 제한 한다는 의미이고 리액션 영상, 해설, 분석, 편집이 포함된 콘텐츠는 오히려 선호되는 타입이라고 합니다. AI 도구를 활용하는 것 자체는 갠찮지만 개인의 기여'와 창의성을 명확히 증명해야 수익 창출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2025년 7월 15일자로, 유튜브가 AI로 제작된 영상에 대한 수익성 정책을 강화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모든 AI영상에 대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진정성'이 부족한 영상과 '대량생산'된 영상, 그리고 '반복적'인 저품질의 영상물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입니다.
우선, 진정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진정성이 없는 영상물은, AI음성만으로 글을 읽는 반복적이며 내용없는 슬라이이 쇼, 편집과 노력이 거의 없이 대량 생산된 내용물, 해설이나 의미가 없이 AI가 생성한 이미지나 영상물 혹은 재활용된 컨텐츠만을 담은 영상물 등으로 볼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대량생산의 측면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는, 타 채널의 컨텐츠를 그대로 가져온 것, 인터넷 상에서 복사해서 붙여넣은 편집본, AI슬롭(AI를 사용한 저품질의 무의미한 컨텐츠 - AI음성으로 덧입힌 이미지나 영상 등) 등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AI를 사용하여 타 컨텐츠와 비슷하거나 유사한 컨텐츠를 반복적으로 업로드하여 시청시간을 채워 광고수익을 얻으려는 목적의 영상물입니다.
다시 말해, AI를 사용하지만,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해설, 편집 등의 노력이 더해지는 것은 상관이 없고 오히려 장려되며, AI를 통해 스토리텔링이 향상되거나 AI가 창의성의 보조적인 도구로 사용되는 것 등은 상관이 없습니다. 즉, 사람이 개입이 부족한고 독창성이 없는 저품질의 영상물만이 수익제한에 걸리게 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현재 유튜브 측에서 발표한 도입 예정 정책은
반복적이거나 저품질의 영상 남용을 처벌하는 것이 개요입니다
Ai로 그런것을 만들기 쉬운 것은 사실이고
아마 그래서 만든 정책에 가깝겠지만
Ai를 무조건 금지하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