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천연기념물 황조롱이
천연기념물 황조롱이22.12.02

대장 내시경은 얼마만에 한번씩 해야할까요?

나이
52
성별
남성

2년전 건강검진을 하면서 대장내시경을 처음 했었는데... 검진결과 작은 용종이 하나 발견되어 바로 제거를 했습니다.

그때 이후 대장내시경을 하지 않았는데... 얼마만에 한번씩 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대장내시경 검사가 꼼꼼하게 잘 시행되었고 선종 등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검진을 5년 이후에 받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용종의 개수가 2개 이하이면서 모두 1cm 미만이고 고이형성 선종이나 융모성 선종(암화 가능성이 높은 선종의 조직학적 소견)이 하나도 없는 경우라면 역시 5년 뒤 대장내시경을 받기를 권고합니다.

    반면 용종의 개수가 3개 이상, 1cm 이상 용종이 있는 경우, 고이형성 선종이나 융모성 선종이 발견된 경우를 고위험군이라고 하며 이 경우에는 3년 뒤에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즉, 제거한 용종이 단순 선종이었다면 5년뒤에 대장내시경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대장내시경은 50세 이상에서 이전 검사에서 정상이라면 3-5년 마다 검사가 권고되며 용종절제술을 이전에 받으셨다면 2년후에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특별한 이상소견이 없으셨다면 5년에 한번씩 받아보시는 것을 권고드리지만, 용종이 있으셨다면 2-3년에 한 번씩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용종이 있을경우 1년후 추시관찰이 권유되나 가장 정확한것은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하는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권장사항은 4년~5년 주기로 하는것입니다만

    가족력이 있거나 그전에 용종이 발견되었다면 1~2년 주기로 하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국가에서는 대장암의 검진을 대장내시경이 아닌 분변 잠혈검사로 시행합니다. 검사 주기는 5년입니다.

    분변에서 잠혈이 발견되는 경우 대장내시경을 하는것을 기본적인 검진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전 대장내시경에서 문제가 없었고 분변잠혈검사 보다는 더 자세하게 검진을 하고싶어하시는 경우에 5년에 한번정도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시면 됩니다.

    작성자분은 용종을 제거했던 과거력이 있으며로 3년 주기로 대장내시경을 해보시는게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 대장내시경의 특별한 이상이 이전에 없었다면 2년에 한번 정도 시행해서 경과관찰 하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이전에 병변이 있거나 이상이 있어 주기적인 경과관찰이 필요한 경우 1년에 한번정도 확인을 위한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