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용어애 대해 문의 드립니다. ( LTV, DTI ) ?
안녕하세요, 요즘 대출 상담 중인데요 .
대출용어가 익숙하지 않아서 문의 드립니다. 특히 자주 나오는
( LTV , DTI ) 가 자주 나오는 데요 , 무슨 뚯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ltv 는 쉽게 말해 집 가격대비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의 %를 말합니다.
50%이면 집가격의 50%만 최대 대출이 가능합니다.
dti는 소득 대비하여 연간 원리금을 정해주는 %이며
dti가 40%이고 소득이 5천만원이며
최대 2천만원 원리금 정도의 대출은 해줄게이며
총 대출액 연수나 저당상수를 이용하여 구하게 됩니다.
둘 중 낮은 금액이 사실상의 대출가능 금액입니다.
요새는 dti 보다는 dsr를 더 크게 보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LTV는 주택담보대출비율로
담보가치(주택가격) 대비 대출비율로, 은행들이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해줄 때
적용하는 담보가치 대비 최대 대출가능 한도를 말합니다.
DTI는 총부채상환비율로
담보대출을 받을 경우 채무자의 소득으로 얼마나
잘 상환할 수 있는지 판단하여 대출한도를 정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LTV와 DTI는 대출을 받을 때 중요한 기준이 되는 용어입니다. LTV는 '주택 가치 대비 대출 한도'를 말하며, 집값의 몇 퍼센트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LTV가 70%라면 집값의 70%까지 대출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DTI는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을 의미하며, 대출받을 사람의 소득에 비해 빚이 얼마나 많은지를 보여주는 기준으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추가 대출이 어려워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LTV는 주택가격에 비해 주택담보대출이 어느정도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높다면 LTV는 높게 산출되고 비중이 낮다면 LTV는 낮게 산출됩니다.
DTI는 금융부채 상환능력을 소득으로 따져서 대출한도로 산정하는 계산비율을 말합니다. 대출상환액이 소득의 일정비율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서 시행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LTV는 담보인정비율이라고 해서 자산의 담보가치에 대한 대출 비율을 의미하며, 흔히 주택가격에 대한 대출 비율로 쓰입니다.
DTI는 총부채상환비율로 주택담보대출 차주의 원리금상환능력을 감안하여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설정하기 위해 도입된 규제 비율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LTV(Loan to value ratio, 주택담보대출비율)와 DTI(Debt to income ratio, 총부채상환비율)는 대표적인 부동산 관련 대출 규제 수단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양상을 보였던 지난 2002년과 2005년에 각각 도입되었습니다.
먼저, LTV는 주택 가치 대비 대출금의 비율을 뜻해요. 즉, LTV는 금융기관이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시행할 때 주택가격대비 대출 가능한 한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LTV한도가 50%라면 시가 1억원짜리 아파트를 담보로 대출을 받을 때 최대 5,000만원까지만 대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한편, DTI는 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의 비율을 말합니다. 즉, DTI란 주택담보대출의 연간원리금 상환액과 기타 부채의 연간이자 상환액의 합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DTI는 차입자의 총급여소득(자영업자의 경우 사업소득)을 감안해 대출한도를 정하는 제도로, 소득에 따라 차입자의 대출 규모를 제한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DTI가 40%라면 대출원리금 상환액과 기존의 부채이자 상환액을 합친 금액이 연간소득의 40%를 넘지 못하도록 대출한도를 규제하는 것이죠.
이러한 LTV와 DTI는 적정한 담보가치와 차입자의 상환능력을 초과한 대출을 방지하여 차입자와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감사합니다.
LTV와 DTI는 대출과 관련된 중요한 용어입니다.
LTV(Loan to Value)는 '담보 대비 대출 비율'로, 주택 가치 대비 대출 가능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주택 가치가 1억 원이고 LTV가 60%라면 최대 6천만 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DTI(Debt to Income)는 '총부채 상환 비율'로 소득 대비 부채 상환에 쓰이는 금액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DTI가 높으면 소득에 비해 부채 상환 부담이 크다는 의미로 대출 심사에 중요한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