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일중에서 계약직이 있는데 이 계약직은 어떤 특성이 있는건가요?
사회복지 일 중에서 계약직이 있는데,
1) 이 계약직이 어떤 성격인지 궁금합니다. 1년마다 갱신된다는 건지,
2) 그러면 정규직과 차이점은 무엇인지도 좀 궁금합니다.
사회복지분야의 계약직 특성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사회복지 분야의 계약직은 일정 기간 동안 근로 계약을 맺고 업무를 수행하는 형태로, 일반적으로 1년 단위로 계약이 갱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약 기간이 명시되어 있으며, 계약 만료 시 자동 종료되는 구조입니다.
반면 정규직은 별도의 계약 기간 없이 무기한 고용되며, 고용 안정성이 높고 승진이나 경력 개발 기회가 더 많습니다. 급여나 복지 측면에서도 정규직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며, 상여금이나 성과급, 복리후생이 더 폭넓게 제공됩니다.
계약직도 4대 보험, 연차, 퇴직금 등의 법적 권리는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조직 내에서 ‘소모성 인력’으로 운영되는 경우도 있어 장기적인 커리어 계획에는 제약이 따를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 중에 계약직은 정해진 기간 동안 일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종의 비정규직입니다. 1년마다 갱신된다는 용어는 보험에서 사용하는 것이고요. 근무에 대해서는 갱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인턴직도 일종의 계약직인데요. 계약직이 1년이라 하면 2025년 10월 18일부터 내년 2026년 10월 17일까지 일하기로 1년 계약을 맺고 정해진 기간까지 문제 없이 일을 마치면 1년 계약이 종료하면 일이 끝나고 나가는 것입니다. 만약에 회사에서 더 있게 하려면 정규직으로 채용을 해야 합니다. 정규직은 정해진 기간이 없이 정년까지 일을 하는 것입니다. 사회복지사 역시 그렇게 비정규직과 정규직이 있습니다. 제가 면접 본 것 중에 기간제근로가 있는데요. 기간제 근로가 대표적인 계약직입니다. 다만 이 기간제 근로 6개월 정도도 1명 뽑는데 8명이 지원했고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에 고급 사회복지 행정과정이 있는 사람이 있었는데도 아무도 뽑지 않고 적격자 없음하고 채용하지 않고 마무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규직이 정년 55세까지 일을 한다면 계약직은 50세부터 51세까지 1년 계약 맺고 끝내는 식이다 이렇게 보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계약직은 정규 정규직이 아닌 일정기간 동안만 근무하는 임시적 형태로 기관이 인력 수요에 따라 채용되는
것이 특징 입니다.
주요특징으로는
근무 기한의 제한: 계약직은 정해진 기간 6개월, 1년 동안만 근무하며 계약 만료 후 재계약 되지 않으면 고용이
종료 됩니다.
채용목적은 기관의 특성 사업, 인력보충, 프로젝트 등 필요에 따라 단기적으로 채용되는 경우가 많아 정규직에
비해 업무의 연속성이나 안정성은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정규직 채용 및 근로조건은 근로기준법 적용을 받으며 정년까지 근무 가능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승용 사회복지사입니다.
아무래도 그 맡은 사업에 따라 계약종료가 되는 직원들을 말하는것입니다. 정규직 전환은 되지 않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고동열 사회복지사입니다.
정규직과 크게 다르지 않게 근무하며, 급여, 4대보험, 퇴직금 등 차이는 없다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계약기간이 끝나면 퇴사를 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엄자영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 중에서 계약직의 일에 대한 특징은 다음과 같아요.
바로 말 그대로 정규직이 아닌 기간제 근로를 하는 것을 의미하고
아무래도 정규직과 하는 일에서 일정 수준 차이가 나고
급여와 복지 차원에서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