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04.11

중세시대에는 샤워를 안해 몸에서 악취가 났다는게 사실인가요?

중세시대에 향수 기술이 발전하게 된 이유가 잘 씻지 않아서라는데 이게 맞나요?

그때도 물론 정화시설이 충분하진 않앟겠지만, 씻는게 많이 힘들었나요?

잘 씻지 못하다보니 냄새를 정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향수가 개발된거라던데 이게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시대에는 위생 관념이 거의 제로에 가까웠습니다.

    하수도 시설이 되어있지 않아 용변통에 똥오줌을 모아두었다가 길에 버리거나 강에 버리는 일이 허다했습니다.

    중세의 기사들의 경우 갑옷을 입고 전쟁을 하다가 벗고 용변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입은 채로 볼일을 보고, 전쟁이 끝난 후 돌아와서 땀, 소변, 대변 등등이 범벅이 되어있는 갑옷을 소변, 모래, 식초를 섞은 것을 비누대용으로 하인에게 갑옷을 닦도록 했다고 합니다.

    전혀 안씻지는 않았으나 정말 평생 씻지 않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잘 씻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14세기 유럽 전역을 휩쓸고 간 흑사병과 각종 전염병의 원인이 물이라고 하여, 물에 대한 공포감이 만연했습니다. 인간의 피부는 물을 막아주지 못하고 쉽게 통과시킨다고 중세인들은 믿고, 물로 씻으면 모공이 열려 그 곳을 통해 나쁜 것들이 몸으로 침투하여 병을 일으킨다고 믿었습니다.

    왕족들도 마찬가지였는데 프랑스 루이 14세의 경우 평생 2번만 씻었다는 이야기가 있고 그의 입냄새는 최고였다고 전해오고 있습니다. 스페인의 이사벨라 여왕의 경우 결혼식과 출산일 2번만 씻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래서 중세의 귀족들은 천을 가지고 다니며, 땀이랑 오물을 닦았고, 씻는 것 대신 옷을 자주 갈아입는 것으로 더러움을 감추었고, 이에 몸에서 나는 악취를 감추기 위해 향수가 발명되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15세기 의학 논문에는 목욕이 몸을 따뜻하게는 하지만 약화시키고, 모공을 확장시키므로 질병이 생긱기 쉽고 사망할 수도 있ㄷ가고 경고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에 따라 공중 목욕탕도 법령에 의해 폐쇄되었고, 17~18세기에는 목욕을 전혀 안하는 문화가 정착되었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중세시대는 우물로 물을 길어다가 쓰는 시기입니다. 그리고 주방이 작기 때문에 물을 충분히 뎁히기 번거롭고 기르는 것도 일이다 보니 잘 안 씻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