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공정한개리18
공정한개리18

아이들 애착물건은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요?

만 6세 손녀가 애착이불을 항상 가지고 다니는데 너무 오랜동안 애착을 가지고 있는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혹시 너무 오래 애착을 가질경우 못가지게 자연스럽게 관심을 떼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그냥 나이에 상관없이 그냥 두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의 애착물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애착인형을 예로 들면 애착물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쉽게 말해 애착인형은 낯선상황에서 양육자를 대신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애착인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간이 흘러 아동이 되면, 아동은 점차 양육자와 떨어져지내는 시간이 많게 된다. 낯선 세상을 탐색하던 어린 아동은 양육자와 떨어져 놀다가도 조금이라도 불안하면 양육자를 보고 표정을 살피고, 간혹 놀라면 양육자에게 쭐래쭐래 달려와 안겨 안정을 느낀다. 이러한 양육자의 역할을 안식처, 안전 기지(secure base)라고 부른다. 더 시간이 흐르면 이제는 양육자가 없더라도 스스로 안정을 찾아야 할 때가 온다. 몇 시간동안 양육자가 외출하거나 혼자 잠을 자야 할 때, 아동은 안식처 역할을 해줬던 양육자의 상을 대신할 대상을 찾는다. 아동은 부드럽고 푹신한 것을 찾아 양육자의 상을 투영하는데, 그러다 보니 애착의 투사 대상으로는 주로 인형이 이용된다. 이렇게 애착의 투사 대상이 된 인형을 애착인형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애착인형을 자연스럽게 줄이는 방법은

    대체 물건 제안, 칭찬과 강화, 규칙적인 생활 습관, 놀이를 통한 애착 강화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애착물건의 집착을 보이는 것은

    불안함으로 인한 심리적.정서적인 부분의 원인이 커서 입니다.

    아이의 불안함은 안정된 애착형성의 부족함과 하루 중 안 좋은 경험으로 인한 트라우마, 그리고 스트레스 등등의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생겨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의 심리적 + 정신적인 부분에 힘써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또한, 애착이불은 가지고 다니는 것은 일상생활에 힘들 수 있음을 아이에게 부드럽게 알려주면서 아이 스스로 애착이불과 헤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애착 물건은 아이가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끼는 중요한 수단이므로, 당장 떼어내기보다는 존중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만, 점차 다른 행동이나 관심거리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시면, 서서히 애착이 줄어들 수 있어요. 억지로 빼앗기보다는 이불 없이도 괜찮다는 경험을 차근차근 쌓게 해 주는 게 건강한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만6세 아이의 애착 물건은 정상적 발달 과정으로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줍니다. 억지로 빼앗거나 관심을 떼게 하기보다는 점진적이고 자연스러운 노출 조절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집에서는 애착 물건 허용, 외출 시에는 가방에 넣어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식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