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2년 박영효가 고종의 명을 받아 일본에 가면서 ‘태극·4괘 도안’의 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어요.
고종은 1883년 3월 6일 왕명으로 이 ‘태극·4괘 도안’의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공포했지만 국기 만드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은 탓에 이후 다양한 형태의 국기가 사용되어 오다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태극기의 제작법을 통일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정부는 1949년 10월 15일 「국기제작법고시」를 통해 국기 제작 방법을 확정·발표하였답니다.
국기 제정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조선을 공격했던 일본의 군함인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1876년 일본과 조약을 체결하면서 부터이며 조선의 관리들이 일본의 국기를 보게 되면서 조선도 국기가 있어야 한다 생각했고 1882년 조선이 미국과 조약을 체결할때 처음으로 태극기를 사용했는데 그때는 4괘가 아니라 8괘 태극기였습니다.
4괘가 등장하는 것은 3개월 후 박영효가 고종의 명을 받고 일본에 수신사로 가는 배 안이었고 8괘가 너무 복잡하다는 의견이 있어 박영효는 8괘를 4괘로 줄여 오늘날과 비슷한 태극기를 만들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다음해 1883년 태극기는 조선의 정식 국기로 채택됩니다.
이 국기는 1882년에 처음 제정되었으며 그 이후로 여러 차례 개정되었습니다. 국기 디자인은 태극 문양과 동양 철학과 문화를 반영하는 네 가지 기본 방향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태극 문양은 우주의 균형과 조화를 상징하며, 네 가지 기본 방향은 자연과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