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귀여운고슴도치205
귀여운고슴도치20523.02.01

대변에 색깔로 건강 상태를 확인할수 있나요?

나이
4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요즘 몸의 신체적인 변화가 있는지 하루에 한번 가던 화장실도 일정하지 않고

대변색깔이 점점 검게 변하는데요.

대변의 색깔로 건강 상태를 알수 있을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대변이 검게 나오는경우 위장관 출혈이 있을수도 있습니다.내과 내원하셔서 대변잠혈검사나 내시경검사를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혈변이나 흑색변 정도가 아니라면 대변으로 건강 상태를 알기는 어렵습니다. 검게 변한다고 해도 냄새나는 자장면 국물 같은 변이 아니라면 흑색변은 아니구요.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황금색 변
    대변 하면 먼저 ‘소화기계’를 떠올린다. 하지만, 건강한 대변의 황금색은 정작 ‘적혈구’와 관련이 있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만들어져 약 120일 동안 온몸을 돌아다니며 산소를 실어나른다. 늙은 적혈구는 간과 지라에서 다시 탐식, 재활용된다. 낡은 트럭을 폐차장에서 분리, 재활용하는 것과 비슷하다. 먼저 철(Fe)을 제외한 헴 분자가 빌리베르딘(biliverdin)을 거쳐 빌리루빈(bilirubin)으로 바뀌어 간에서 담즙(bile)에 섞여 분비된다. 빌리루빈은 장에 존재하는 균 작용으로 ‘유로빌리노겐(urobilinogen)’이 되고, 분변과 함께 배출되면서 변과 소변 색이 황금색을 띠는 것이다.
    만약 간 기능이 떨어지거나, 담즙이 흐르는 길을 막는 담도폐쇄(biliary atresia) 및 과도한 용혈(hemolysis)이 있다면,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면서 눈의 공막, 피부가 누렇게 변하는 ‘황달(jaundice)’이 나타날 수 있다.

    위장관 출혈
    ‘위장관 출혈’을 의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은 ‘흑색변(melena)’과 ‘혈변(hematochezia)’이다. 흑색변은 거의 ‘짜장 소스’ 같은 변을 의미한다.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단백질에서 철(Fe) 성분이 ‘위산’을 만나 산화하면 까맣게 보이는 것이다. 이때는 주로 상부-위장관 출혈을 예상할 수 있다. 상부-위장관은 ‘식도, 위, 십이지장’을 생각하면 된다. 상부-위장관 출혈량이 아주 많다면 미처 소화할 시간이 없어, 붉은색의 혈변(hematochezia)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사실 혈변의 가장 많은 원인은 ‘치질’과 관련된 항문 질환이다.

    변기에 한두 방울의 피만 떨구어도 변기 전체가 붉게 보이므로 흑색변과 혈변의 객관적인 양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가령 “종이컵 몇 개 정도 나왔나요?” 같은 질문이 될 수 있다. 종이컵 한가득은 약 150㎖이다. ‘검은색, 붉은색 변’으로 병원을 방문하면 환자가 얘기하는 정보와 활력징후를 참고하여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운다.

    음식과 관련된 대변의 색
    보통 대변의 색은 ‘어떤 음식’을 먹었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진다. 다크 초콜릿, 김, 레드 와인, 오징어 먹물 요리, 해장국의 선지 그리고 철분제를 섭취하면 살짝 검은색을 띨 수 있다. 물론 블루베리 같은 까만색 음식도 변의 색을 검게 만들 수 있다. 아침마다 인사하는 나의 창조물이 ‘검은색’ ‘붉은색’이라면 먼저, 뭘 먹었는지부터 생각해 보자! 특별히 먹은 음식에 대한 기억이 없고 자주, 반복적으로 검은색, 또는 붉은색 변이 나온다면 검사가 필요하다. 또한 극단적으로 ‘까맣고 빨간 대변’이 나왔다면 그 양을 기억하고 빠르게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안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