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질문 궁금한게 있습니다~~!!!
36갤 이불에서 뛰다가 친구랑 부딪혔는데
선생님이 기분이 안좋아서 그런지 주먹을 쥐고있었다 하는데..이게 화나서 그런건지 친구가 울어서 당황하고 긴장되서 그런건지 분별이 안가서요!
훈육을 이불에서 뛰면 안된다 하면 되는데
주먹쥐는것도 훈육해야 할가요?
아직 잘 모르는시기인데 너무 이러면 안된다 훈육하는건 아닌지 불안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36개월 이면
자아가 성립 된 시기로 자기주장도 확실해지는 시기 이랍니다.
아이가 친구랑 부딪혀 기분이 좋지 않아 주먹을 불끈 쥐었다 라는 것은 친구와 부딪힘으로 인하여 자신이 아팠고
그 아픔의 기분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태도가 행동으로 보여지게 된 것 같습니다.
36개월 아이는 아직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부분이 미흡하기 때문에 행동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함이 더
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감정을 행동으로 전달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아이가 원에서 하원을 하고 돌아오면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기분이 좋지 않다 라고 두 주먹을 불끈 쥐는 행동은 옳지 않아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눈높이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은 아직 서툴고 36개월 정도의 나이라면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친구와 부딪혔을 때 주먹을 쥐었다면 아이가 화가 나거나 당황해서 그런 행동을 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감정 조절이 미숙하기 때문에 주먹을 쥐는 것이 반드시 나쁜 의도라기보다는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훈육에 있어서는 이불에서 뛰는 행동은 안전 문제로 분명히 주의가 필요하지만 주먹을 쥐는 행동에 대해선 아이가 감정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나면 주먹을 쥐는 것보다 말로 표현하자"는 식으로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강하게 훈육하기보다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어떤 행동이 바람직한지 천천히 교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36개월 아이가 이불 위에서 뛰다 친구랑 부딪히고 주먹을 쥔건, 화가 나서일 수도 있고 놀라고 긴장해서일수도 있습니다. 이 시기 아이들은 아직 감정을 잘 표현하거나 조절하지 못해 몸이먼저 반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먹을 쥔 것 자체를 바로 훈육하기보다는 '놀랐구나, 화가 났니?'하고 감정을 먼저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