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풋풋한홍학169
풋풋한홍학169

미국의 글로벌 상호관세 정책이 한국 중소기업 수출 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2025년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 변화가 한국 중소기업의 수출 전략이나 시장 다변화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은 국가별 차등관세 정책이 90일동안 유예되면서 국가별 협상의 시간이 시작되었습니다.

    협상의 결과에 따라 국가별 차등 관세 부과가 시작되며, 이에 따라 공급망의 전환 등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다만 관련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아 아직까지는 정책적인 모니터링이 계속 필요한 단계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2025년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 변화는 한국 중소기업의 수출 전략과 시장 다변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산 자동차, 철강 등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1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 의존도가 높은 중소기업들은 가격 경쟁력 하락과 수익성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기지 설립이나 현지 투자 확대를 고려하고 있으나, 자금력과 인프라 부족으로 실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중소기업의 수출 다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수출 지원 대책을 발표하며, 고환율과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글로벌 리스크에 대응하고자 수출 보험 확대, 디지털 수출 마케팅 강화, 신흥시장 진출 지원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지원책을 마련하였습니다 . 또한, 베트남, 인도, 중동 등 신흥시장과의 협력 강화도 추진 중이며, 이는 중소기업들이 미국 시장 의존도를 줄이고 새로운 수출 활로를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이러한 부분은 단기적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기에 가능하면 무역협상이 잘 마무리되어 이러한 관세장벽이 완화되기를 기대하는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2025년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강화될 경우 한국 중소기업은 미국 수출 과정에서 관세 부담이 증가해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 시장 의존도를 줄이고 동남아, 중동, 중남미 등 관세 장벽이 낮거나 fta 체결국 중심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려는 전략이 필요해질 수 있으며, 현지 유통망 확보와 제품 현지화 전략도 함께 추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2025년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 변화로 인해 한국 중소기업들은 수출 시 비용 부담이 커지고,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특히 철강, 알루미늄 등 주요 수출 품목을 중심으로 매출 감소와 물류비용 상승, 관세 관련 정보 부족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중소기업들이 미국 의존도를 낮추고 시장을 다변화하려는 전략을 모색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정부의 관세 정보 제공과 금융 지원, 내수 진작책 등 체계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중소기업의 경영 리스크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