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5.26

심근경색 이후 뇌혈관 관련 질환의 빈도 문의입니다

나이
41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스타틴, 클리피도그렐, 베타차단제
기저질환
심근경색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작년 4월에 심근경색으로 스텐트 시술을 한 환우입니다 그런데 심근경색까페에 가입하여 글을 쭉 보았는데
대부분 뇌경색과 뇌출혈의 위험에 노출이 되었다고 하였습니다
심근경색 이후 1년 이상 지났는데 뇌경색의 위험도가 높을런지요? 경동맥초음파는 분기별로 하고 정상 범주입니다
그리고 아스피린, 스타틴, 클리피도그렐등을 복약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뇌출혈은 어느정도의 강도로 충격이 있어야 발병하는지요? 제가 요즘 자꾸만 문과 냉장고에 부딪힙니다
약하게 부딪히는데 글을 보다가 걱정이 되어서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부딪혀도 통증은 없고 아프지도 않습니다 그때 당시 부딪힘 당시에 통증도 약하고 세기도 약하고 그렇습니다
혹시 이렇게 약한 통증에도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는지요? 항혈소판제를 먹으면 약간이라도 부딪히면 뇌출혈이 발생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어느정도의 빈도로 발병이 되는지요. 그리고 어느정도의 충격으로 발병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웃는표범236
    잘웃는표범23622.05.26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우리가 이야기 하는 뇌졸중은 허혈성 뇌졸중 (뇌경색)과 출혈성 뇌졸중 (뇌출혈) 두가지로 나뉩니다.

    뇌졸중은 충격에 의해서 생기는게 아닙니다. 예를 들어 출혈성 뇌졸중의 경우 머리에 있는 뇌동맥류 같은 혈관이 자발적으로 터지는 상황을 이야기 하지 충격에 의해서 발생하는게 아닙니다.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생기는 뇌출혈은 경막외 출혈, 경막하 출혈이 있는데 이 경우는 엄밀히 말하면 뇌졸중이 아닙니다.

    자발적으로 생기는 뇌줄중의 위험인자에는 고혈압, 심혈관질환 (허혈성, 판막, 부정맥), 흡연,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이 있습니다.

    이야기 하시는 심근경색의 경우 심혈관질환(허혈성)에 속하겠습니다.

    여러가지 위험인자중 하나에 해당할 뿐이기 때문에 다른 인자들을 잘 조절하시면 위험성이 높지 않습니다.

    뇌졸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자는 고혈압입니다. 만약 고혈압이 있으시면 꼭 잘 조절하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이야기 하시는 정도의 충격으로는 뇌졸중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뇌줄중 자체가 충격에 의해서 생기는 출혈이 아닙니다.

    외상성 뇌출혈의 경우는 교통사고같이 큰 충격이 있어야 생깁니다.

    항혈소판제 먹는다고 충격에 의해서 외상성 뇌출혈에 취약해지지 않습니다. 뇌출혈이 생기면 피가 잘 멈추지 않아서 중증도가 더 심해질 수는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심혈관질환은 뇌혈관질환과 통하는 면이 있습니다. 심근 경색과 같이 혈관이 좁아져 생기는 질환이 있다면 심장외에 머리 쪽에도 비슷한 혈관 상태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현재 문에 부딪히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라고 생각도므로 해당 증상에 대해 시야나 방향 감각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뇌출혈은 외상보다는 동맥경화증 등으로 인해 혈관이 약해져 있는 부위로 혈압이 급격하게 상승할 때 터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스텐트 수술을 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일반인보다 뇌경색의 위험이 높습니다.

    뇌출혈이 발생하는 충격의 강도는 정해져있지 않으며 뇌혈관의 손상 상태에 따라 상이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이나 몸의 피떡이 생기고 그것에 의해서 혈관이 막히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심근경색의 병력이 있다면 뇌경색의 위험률이 그렇지 않은 분들에 비해서 높은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스피린 등 약물을 복용하며 잘 관리하여야 합니다. 항혈소판제를 먹는다고 하여 작은 충격에도 뇌출혈이 발생하거나 하지는 않지만 아무래도 출혈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서원 의사입니다.

    심근경색으로 항혈소판제를 복용하고 계시군요.

    머리를 자주 부딪혀서 뇌출혈에 대한 걱정이 많이 되시겠어요.

    다만 말씀하신 것 처럼 세지 않은 강도로 머리를 부딪힌다고해서 뇌출혈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출혈이 생겼을 때 출혈이 멈추지 않아 위험할 수 있는데 애초에 작은 충격으로 출혈이 발생하지는 않으므로 큰 걱정을 안하시는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