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23.07.11

낙뢰에 자동차 안이 안전한 이유??

낙뢰가 치는 날에 자동차안에 들어가 있으면 안전하다고 이야기를 자주 하는데.

근데 자동차도 철을 이용해 만드는 도체인데요

어떻게 낙뢰를 예방 할 수 있나요??

건조한 겨울엔 정전기도 생기는데..

운전 중인 자동차도 똑같이 안전 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는 낙뢰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한 장소 중 하나입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차량의 금속 외부 구조: 자동차는 금속 외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낙뢰가 치더라도 전기를 효과적으로 흘려 보낼 수 있는 도체입니다. 따라서 낙뢰가 차량의 표면을 따라 흐르고,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금속 차체를 통해 대지로 안전하게 퍼질 수 있습니다.

    2. 차량 내부로의 전달 경로: 차량은 전기를 효과적으로 흘려보내는 금속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낙뢰가 발생하더라도 대부분의 전기는 차체를 따라 흐르고 지면으로 향하게 됩니다. 이는 차량 내부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전기 충격을 최소화합니다.

    3. 차량의 고무 타이어: 차량의 타이어는 고무로 만들어져 있으며, 고무는 전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절연체입니다. 타이어가 차량과 지면 사이의 절연층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낙뢰가 차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렇지만 아무래도 낙뢰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완전한 안전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특히 강한 낙뢰가 있는 경우에는 차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낙뢰가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가능한한 차량을 주차하고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정전기에 대해서도 언급하셨는데, 건조한 겨울철에는 정전기가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전기는 일반적으로 낙뢰처럼 강력한 전기 충격을 동반하지 않습니다. 정전기 방전은 주로 전기적인 차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작은 방전이며, 자동차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방전은 일반적으로 큰 위험을 초래하지 않습니다.

    요약하자면, 자동차는 낙뢰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한 장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낙뢰가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차량을 가능한한 주차하고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100% 안전하다고는 장담을 할수는 없구요..다른 방안에 비해 훨씬 안전한 구조로 되어 있다는 표현입니다.

    그 이유는..

    자동차의 차체 자체가 전기를 효과적으로 전도하는 특성이 있는 금속으로 되어 있어서 차량 내부에 있는 승객에게는 직접적인

    전기 충격을 주지 않고, 에너지를 차체를 통해 분산 시킬 수 있구요

    차체와 타이어 사이에는 고무로 만들어진 타이어가 있어 전기가 흐르는 경로를 차단합니다.

    또한, 차량 내부는 금속으로 된 창문과 도어로 둘러싸여 있어 전기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죠

    낙뢰가 칠 경우 차량은 지면에 접지되어 있으므로, 낙뢰의 전기 에너지는 차량의 바퀴를 통해 지면으로 흐르게 되어

    안전하게 분산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이 또한 한몫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ㅎ

    하지만..뭐니뭐니해도 낙뢰가 칠 경우에는 실내나 구조물에 피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 안에서 낙뢰에 맞을 때 안전한 이유는 자동차의 전기장으로부터 보호받기 때문입니다. 자동차의 외부 메탈 프레임은 전기를 흐르게 하고, 내부에는 안전한 경로를 통해 전기가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 안쪽으로 전기가 흐르는 경로는 외부와 차단되어 있어서 전기가 들어오지 않습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자동차 안에서는 전기가 흐르지 않아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 내부가 안전한 이유는 낙뢰가 쳐서 자동차가 맞더라도 이 강한 전류를 자동차는 흘려보내게 되고 내부에 있는 사람에게는 인명피해를 끼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는 철로 이루어져있어 전류가 차체를타고흐릅니다. 또한 자동차의 후면부에는 낙뢰를 지면으로 유도하는 체인이나 띠가 달려있어 해당부분으로 전류가 안전하게 이동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번개가 칠 때 전기가 차체를 따라 지면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동차 안에 있는 사람은 번개를 맞을 위험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차체는 쇠지만 차시트는 가죽시기에 비전도성 물질이죠.

    그리고 차체가 뾰족하거나 주변보다 높지 않기에 그냥 밖에서 서 있는것 보다는 안전합니다.


    감사합니다.